- 영문명
- A Research Synthesis of Intervention Studies of Play Therap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서영은(Seo, Young-Eun) 이영선(Lee, Youngsun)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9권 제2호, 73~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외에서 놀이치료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놀이치료가 실시되고 있으며 특수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놀이치료 역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 위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놀이치료를 다룬 연구들을 종합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놀이치료가 국내에 도입되어 활발하게 시작되어 온 1997년부터 2009년까지 지난 13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34편의 논문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놀이치료, 중재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놀이치료는 구조화된 집단놀이치료와 비지시적 놀이치료로 나누어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중재들은 부모 참여 및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다(부모-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 부모 상담, 부모 놀이치료 등). 또한 놀이치료는 교실이나 가정보다는 분리된 치료실에서 놀이치료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놀이치료의 효과는 언어표현 향상, 사회성 향상, 과잉행동 및 부주의 행동 감소, 불안심리 감소, 인지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놀이치료 연구 및 현장에서의 특수아동에게 적용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studies employing play therapi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conducted and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play therapies were successfully utilized for multiple mental health and concerns as well as psychosocial and behavior supports for children with various disabilities. This study reviewed a body of research using play therapy as a primary intervention, focusing on 34 studie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1997 to 2009. The synthe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interventions and their effects. The types of intervention were structured group play therapy and non-directive play, therapy and some of interventions included subject s parents or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Most of interventions were provided in segregated play therapy room by play therapists.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promoting verbal language and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s well as decreasing behavior problems and anxiety level. Based on results from this synthesis,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were entailed.
목차
요약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1. 검색 절차 및 결과
2. 평가자간 신뢰도
III. 문헌 분석 결과
1. 연구 참여자 분석
2. 연구방법 분석
3. 중재프로그램 분석
4. 놀이치료 및 관련 중재의 효과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장애연구』논문 투고 요령
-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훈련이 자폐 유아의 자발적 사물요구하기 기능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 심각한 행동문제 위험 학생의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다층체계 내 2차 예방 중재 관련 연구 동향
- 인지로봇의 자폐 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 일반학급 상황에서의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고찰
- 특수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연구 분석
- 학령전기 비구어 자폐 아동의 언어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