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Renal Function with Diabetic Retinopathy Complication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소희(So Hee Kim) 김은영(Eun Yeong Kim) 김태경(Tai Kyong Kim) 신혜영(Hye-Young Shin) 김수영(Su Young Kim) 이영춘(Young Chun Lee) 이미연(Mee Y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670~67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첫 범망막광응고술 시행 후 1년 안에 치료가 필요한 당뇨망막병증의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과 전신 위험인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처음 진단되어 본원에서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 총 171안을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85안)군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이 없는 군(86안) 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과 당화혈색소(HbA1c), 당뇨유병기간, 혈압,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이상 지질혈증, 추정사구체여과율(excre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및 성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결과: 총 171명의 환자 중 단변수분석에서 당뇨유병기간, 총 콜레스테롤수치,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HbA1c 및 eGFR 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clinically significant macula edema, CSME)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고밀도지 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s), BMI,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을 통해 높은 총 콜레스테롤수치 및 HbA1c 수치가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을 유발하는 위험인자임이 밝혀졌다.
결론: 콜레스테롤수치 및 HbA1c 수치가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CSME)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설명하는 부분에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investigated systemic risk factors for clinically significant macula edema (CSME) within 1 year after pan-retinal photocoagulation in patients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171 patients who received pan-retinal photocoagulation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Ⅰ with CSME (85 eyes) and Group Ⅱ without CSME (86 eyes). The associations between presence of CSME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duration of diabete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BP), body mass index (BMI), lipid status, sex,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of 171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gender distribution between the two groups. Duration of diabetes, total serum cholesterol, serum low density lipoprotein, HbA1c, and eGF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CSME (p < 0.05).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s, BMI, and systolic and diastolic BP showed no correlation with CSM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otal serum cholesterol and HbA1c values had significantly high odds of developing CSME.
Conclusions: HbA1c, total serum cholesterol, and eGFR are import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SME in patients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secondary to pan-retinal photocoagulation. Thus, early detection of these risk factors and their control have significant roles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maculopathy and thereby preventing severe visual los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6):670-675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발군날개와 동반된 자발각막천공 1예
- 급성 전골수구백혈병에서 발생한 Retinoic Acid Syndrome 및 가성뇌종양
-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을 유발하는 전신 위험인자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말토필리아 안내염: 임상양상, 항생제 감수성과 예후
- 여성의 생리주기와 연관된 재발공막염 1예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광역학요법과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병합치료의 장기추적 관찰결과
- 초고선명 텔레비전 시청 시 정상안과 건성안에서의 눈깜박임 양상 비교
- 재발외사시 수술 성공률 향상을 위한 인자 분석
- 양안 동공잔류막 제거술과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동시에 시행한 1예
- 당뇨망막병증 진행 정도에 따른 빛간섭단층혈관촬영술
- 정상인의 안구 운동 범위와 연령과의 연관성
- 섬유주절제술 병합 백내장수술 후 고위수차 변화
- 원발후천코눈물관막힘을 가진 한국인에서 골성 코눈물관의 형태학적 특징 분석
- 암포테리신, 포사코나졸 병용투여와 암포테리신 세척으로 치료한 비안와두부형 국균증 1예
- 경도 및 중등도 눈꺼풀처짐에서 결막뮐러근절제술과 눈꺼풀올림근널힘줄교정술 후 눈꺼풀윤곽 비교
-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정량적 동공반사 계측
- 비쇼그렌 건성안 환자의 진단에서 눈물막 삼투압 측정의 임상적 유의성
- 제한사시를 동반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토노펜의 안압측정치 비교 분석
- 젊은 남자에서 발생한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
- 각막기질 수화 과정에서의 관류 바늘에 의한 각막기질 관통 손상의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