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정량적 동공반사 계측

이용수  76

영문명
Quantitative Pupillometry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in Korean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박은우(Eunoo Bak) 류영주(Yung Ju Yoo) 양희경(Hee Kyung Yang) 황정민(Jeong-Min Hwa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712~717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양한 동공반사 지표의 정량적인 표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굴절이상 이외의 다른 안과적인 이상이 없는 건강한 성인 90명에서 자동동공측정계(PLR-200, NeurOptics Inc., Irvine, CA, USA)를 이용하여 직접 동공빛반사를 측정하였다. 자동동공측정계로 최대동공지름, 최소동공지름, 동공수축 잠복기, 동공수축 비율, 최대수축속도, 평균수축속도와 평균확대속도 등 총 7가지 지표를 측정하였다. 결과: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동공반사의 7가지 지표는 모두 양안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동공지름, 최소동공지름, 최대수축속도, 평균수축속도, 평균확대속도가 감소하였고, 동공수축 잠복기는 증가하였 다. 동공반사의 모든 지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01). 결론: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동공반사 지표는 양안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동공크기, 수축속도 및 확대속도가 감소하고, 동공수축 잠복기는 증가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normal ranges of various indexes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measured by automated pupillometry in Korea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90 healthy adults who did not have any ocular diseases other than refractive errors. The direct pupillary light reflex was measured with an automated dynamic pupillometer (PLR-200, NeurOptics Inc., Irvine, CA, USA). A total of 7 indices were measured as follows; the maximum and minimum pupil diameters, constriction latency, constriction ratio, maximum constriction velocity, average constriction velocity and average dilation velocit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ntitative indexes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between fellow eyes. A significant decrease in maximum pupil diameter, minimum pupil diameter, maximum constriction velocity, average constriction velocity and average dilation velocity were observed with aging. In contrast, a significant increase in constriction latency was observed with ag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quantitative pupil measurements according to gender (p < 0.001). Conclusions: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by dynamic pupillometr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llow eyes. A significant decrease in pupil size, constriction velocity and dilation velocity, and an increase in pupil constriction latency were observed with ag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우(Eunoo Bak),류영주(Yung Ju Yoo),양희경(Hee Kyung Yang),황정민(Jeong-Min Hwang). (2017).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정량적 동공반사 계측. 대한안과학회지, 58 (6), 712-717

MLA

박은우(Eunoo Bak),류영주(Yung Ju Yoo),양희경(Hee Kyung Yang),황정민(Jeong-Min Hwang).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정량적 동공반사 계측." 대한안과학회지, 58.6(2017): 712-7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