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of a Corneal Stromal Penetrating Injury via an Ejected Needle during Stromal Hydr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주(Ju Eun Kim) 이명원(Myu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6, 725~73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 수술의 각막기질 수화 과정에서 분출된 관류 바늘에 의해 각막기질이 수평 관통 손상된 사례를 경험하였고 회복 과정및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우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79세 여자 환자가 내원하였다. 환자는 초진 시 최대 교정 시력은 우안 0.3이었고 우안의 백내장은 nuclear opacity 3, cortical opacity 1–2,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1으로 분류되었다. 백내장 수술은 점안마취하에 진행되었으며 투명각막절개를 통해 성공적인 수정체 유화술 및 낭내 인공 수정체 삽입술이 시행되었고 관류 바늘이 끼워진 주사기를 이용하여 각막기질 수화로 절개창 폐쇄를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헐거워진 관류 바늘이 전방 내에서 각막내피 방향으로 분출되었고 각막기질 층을 수평으로 관통하였으나 각막상피로의 관통은 없었다. 수술 후 1일째 우안의 나안 시력은 0.5였으며 난시값은 -1.25디옵터(D) cyl × 30으로 측정되었고 각막부종 및 데스메막주름과 각막내피세포의 미세한 흉터만 관찰되었다. 수술 후 3주째 우안의 나안 시력은 0.9였으며, 난시값 -0.50 D cyl × 59로 측정되었고 각막 혼탁 등의 특이사항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관류 바늘에 의해 관통 손상된 각막내피세포 및 기질세포는 보상 기전에 의해 각막 부종과 혼탁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고 창상 회복이 되어 굴절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시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분출된 바늘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자와 수술 보조자는 항상 관류 바늘 연결부위를 주의 깊게 확인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a case of a horizontally penetrating injury of corneal stroma via an ejected irrigating needle during stromal hydration in cataract surgery.
Case summary: A 79-year-old woman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her right eye.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was 0.3. The cataract score of her right eye was nuclear opacity 3, cortical opacity 1−2, and posterior subcapsular opacity 1. She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using a clear corneal approach while under topical anesthesia, and an intraocular lens was successfully implanted in the bag. A plastic syringe with an irrigating needle was used to hydrate the corneal stroma at the clear cornea site.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pressure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ringe and irrigating needle, the loosened irrigating needle was forcefully ejected toward the corneal endothelium,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troma without injuring the corneal epithelium. On the 1st postoperative day, her right eye exhibited a visual acuity of 0.5, astigmatism of -1.25 diopter (D) cyl., corneal edema with Descemet’s folds, and insignificant scarring of the corneal endothelium. Three weeks after surgery, the visual acuity was 0.9, the astigmatism was -0.50 D, and any other abnormalities such as corneal opacity were no longer present.
Conclusions: Despite a penetrating needle injury through the corneal endothelium and stroma, the corneal wound healing process did not result in corneal opacity or worsened astigmatism. To prevent sequela due to an ejected irrigating needle, operators and assistants should be actively aware of tight locking between the needle and syring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원발군날개와 동반된 자발각막천공 1예
- 급성 전골수구백혈병에서 발생한 Retinoic Acid Syndrome 및 가성뇌종양
-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부종을 유발하는 전신 위험인자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말토필리아 안내염: 임상양상, 항생제 감수성과 예후
- 여성의 생리주기와 연관된 재발공막염 1예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광역학요법과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병합치료의 장기추적 관찰결과
- 초고선명 텔레비전 시청 시 정상안과 건성안에서의 눈깜박임 양상 비교
- 재발외사시 수술 성공률 향상을 위한 인자 분석
- 양안 동공잔류막 제거술과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동시에 시행한 1예
- 당뇨망막병증 진행 정도에 따른 빛간섭단층혈관촬영술
- 정상인의 안구 운동 범위와 연령과의 연관성
- 섬유주절제술 병합 백내장수술 후 고위수차 변화
- 원발후천코눈물관막힘을 가진 한국인에서 골성 코눈물관의 형태학적 특징 분석
- 암포테리신, 포사코나졸 병용투여와 암포테리신 세척으로 치료한 비안와두부형 국균증 1예
- 경도 및 중등도 눈꺼풀처짐에서 결막뮐러근절제술과 눈꺼풀올림근널힘줄교정술 후 눈꺼풀윤곽 비교
- 한국인에서 자동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정량적 동공반사 계측
- 비쇼그렌 건성안 환자의 진단에서 눈물막 삼투압 측정의 임상적 유의성
- 제한사시를 동반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토노펜의 안압측정치 비교 분석
- 젊은 남자에서 발생한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
- 각막기질 수화 과정에서의 관류 바늘에 의한 각막기질 관통 손상의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