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

이용수  1,829

영문명
A Study of Support System for Facilitating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the Perceptions of Parents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이소현(Lee, SoHyun) 이수정(Lee , Soojeoung) 윤선아(Yoon, Sun Ah)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3권 제1호, 167~19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폐 범주성 장애는 출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함께 진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장애의 특성상 조기진단을 통하여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조기개입을 실시하는 경우 그 예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이 강조되면서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에 대한 관심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녀의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과정을 경험한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1) 진단 의뢰 전까지의 어려움, (2) 진단 과정에서의 어려움, (3) 진단 결과와 관련된 어려움, (4) 지원 체계 수립 요구라는 4개의 주제 및 각 주제에 따른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 진단 및 교육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Moreover,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are considered as important components for promoting positive outcomes of educational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parents experience and perceive on the process of early diagnosis of their own children as hav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ransition into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0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participated in focus interviews. Four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emerg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Four major themes are the following: (1)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ferral, (2)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iagnosis, (3) difficulties related to the results, and (4) needs for establishing support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to develop support system for facilitating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목차

초록
I. 연구의 팔요성 및 목적
ll. 연구방법
1 . 면담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III. 연구결과
1. 진단 의뢰 전까지의 어려움
2. 진단 과정에서의 어려움
3. 진단 결과와 관련된 어려움
4. 지원 체계 수립 요구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현(Lee, SoHyun),이수정(Lee , Soojeoung),윤선아(Yoon, Sun Ah). (2013).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3 (1), 167-199

MLA

이소현(Lee, SoHyun),이수정(Lee , Soojeoung),윤선아(Yoon, Sun Ah).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3.1(2013): 167-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