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utcomes of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in Short-term Stay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용수 134
- 영문명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Moon, Kyoungja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21권 제1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on patient outcomes in patients admitted to a short-term stay intensive care unit (SSICU).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admitted to a SSICU for three months between April 2013 and June 2013. Methods: Delirium was assessed by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Intensive Care Unit for both groups. A preventative protocol, consisting of high-risk screening,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and orientation, environmental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to correct risk factors of delirium at an early stage,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 on patient outcome was assess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elirium, in-hospital mortality, re-hospitalization, and length of stay.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applied to patients admitted to the SSICU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delirium, in-hospital mortality, re-hospitalization, and length of stay.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delirium, in-hospital mortality, re-admission, and LO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replication of study using a large group is need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목차
Introduction
Methods
Applying the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복실 간호사의 수술 후 통증관련 지식, 태도, 간호수행과의 관계
- 항암치료를 받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고정관념, 폭력인식과 데이트폭력 대처방식과의 관계
- Jeffries의 Simulation Framework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Tackling Child Labor: Can Better Schools Prevent Children from Working?
-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약물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이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체형인식, 비만스트레스 및 식생활 습관과의 관계
- Outcomes of Delirium Prevention Protocol in Short-term Stay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 관리역량과 조직지원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