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Nurses’ Identific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 towards Nursing Professionalism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윤연수(Yun, Yeonsu) 이서영(Lee, Seo-Young ) 김나영(Kim, Na-Young) 김욱민(Kim, Uk-Min) 김민소(Kim, Min-So) 박효정(Park, Hyo-Jeong) 이종은(Lee, Jongeun)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20권 제3호, 106~12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urses’ identification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 towards professionalism in nursing.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336 subjects was recruited from two nursing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mage of nurses in mass media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93, 3.75 and 3.81, respectively.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mage of nurse and image of nurses in mass media.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rofessionalism include image of nurses, image of nurses in mass media and dissatisfaction in the chosen course. The explanation power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68.5%.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their chosen course and positive nurses’ image.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