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이용수 967
- 영문명
-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Supporting Cases in Australia and England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가은아(Ka EunA) 이주연(Lee JooYoun) 이근호(Lee KeunHo) 이병천(Lee ByeongCheo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과 지원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에 대한 시사점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과 관련 문헌 및 자료들을 검토하고 각 국가의 교육과정 담당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첫째, 호주와 영국에서는 국가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공개하고 교육 당사자 간에 활발하고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보급 전파 하는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호주와 영국은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워크숍 형태의 교사연수나 특화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수, 교과별 교사 네트워크나 TS(Teaching School)을 활용한 교사 전문성 신 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셋째, 호주와 영국 모두 정부가 발행하는 교과서는 없었으나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과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들을 서로 연동하여 개발하는 등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o first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will be expa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next year, 2018 school year. As of this year, the way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supporting teachers to better implement the curriculum into their classrooms are crucial.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building curriculum supporting and implementing system by investigating relevant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and Engl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n regards to the curriculum implementing and supporting system, interviews with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and analyzes their web-sites of the two countries. The results shows that active communication is essential among curriculum developers and curriculum implementer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other stake-holders, and this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y building systematic ways;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should be recommended by support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the principal agent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school teachers, should have the autonomy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detailed ways for realizing the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호주와 영국의 교육과정 개관
Ⅲ. 호주와 영국의 교육과정 적용 지원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 삽화의 역할 : 일제 시대 간행된 초등 지리교과서의 인종·민족 삽화를 중심으로
-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 일본 외국인교육정책의 특징 분석 : 조선학교 졸업생의 구술을 중심으로
- 전전-전후 일본 교육의 연속성 : 시민교육의 맥락에서
-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 비교 연구
-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 노년기의 성공적 노화와 취로 활동 : 일본의 오가와노쇼 오야키무라 사례를 중심으로
- 핀란드의 교원규모 결정 및 교원선발 정책 탐색
-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의제에‘학습’은 어디에 있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