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의제에‘학습’은 어디에 있는가?
이용수 515
- 영문명
- Critical Review on Discourses of Learning in Global Education Agenda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e) 조원겸(Cho WonGyeum)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교육의제들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학습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교육 개발협력이 나아갈 방향성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제교육계의 3대 글로벌교육회의라 일컬어지는 1990년 좀티엔 세계교육회의, 2000년 다카르 세계 교육포럼, 그리고 2015년 인천 세계교육포럼으로 줄기를 잇는 국제 선언을 분석의 축으로 삼고자 한다. 여기서 다루어진 핵심 내용과 방향이 무엇이고 학습을 다루는 목적과 위상, 그리고 한계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글로벌교육의제에서 학습 담론이 거의 생략되어왔고, SDGs 교육의제 하에서의 학습 담론도 개념의 모호 성으로 인해서 개발도상국에서 제대로 수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학습성과’를 ‘학습평가’로 등식화하면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 ‘평가’에만 몰입하는 방향이 나타나는 모순적 상황이 한계로 드러났다. 이에 앞으로의 국제 교육개발협력사업은 첫째, 선진국의 교육 시스템 및 기존 지식 제공 방식이 아니라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그리고 학습자 중심주의의 교육적 접근을 통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일회성의 국제교육개발협력사업이 아닌 개발도상국 학습자의 성장을 지속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체 틀이 다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셋째, 앞으로의 교육개발사업은 그 발굴단계에서 하드웨어가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성취를 고려한 소프트웨어 개발 중심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이제 학습 주의와 교육학의 전문적 지식을 사업 발굴 단계 및 진행과정에 연계하여 국제교육 개발협력에서 ‘교육적’ 의미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이 무엇인지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debates o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in global education agendas have changed and to understand the discourses and issues about learning under the agendas , and final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know what is the implication we should take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To do thi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1) what is the main features and directions, and 2) the method and limitation in handling learning concept on three major global education forums which are Jomtien global education forum in 1990, Dakar in 2000, and Incheon in 2015. Major finding shows that there are little learning concept discussed in Jomtien and Dakar forums and in SDGs education agenda, learning is vaguely defined and discussed and there are problems of too much focus on learning outcomes itself and absence of study on proper assessment system. Major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could be stated that postcolonial perspectives and learner centered approaches is required in developing countries’s education ecology. And continuous suppor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learners’ capacity should be underlined. We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software not hardware from the first of educational ODA. Finally, it is needed to embed within pedagogical approaches.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주요 글로벌교육회의에 반영된 학습 논의 특성과 분석
Ⅳ. 글로벌 의제에서의 학습과 학습 성과를 둘러싼 쟁점
Ⅴ. 결론: 국제교육개발협력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계인식 형성에 있어서 교과서 삽화의 역할 : 일제 시대 간행된 초등 지리교과서의 인종·민족 삽화를 중심으로
-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 일본 외국인교육정책의 특징 분석 : 조선학교 졸업생의 구술을 중심으로
- 전전-전후 일본 교육의 연속성 : 시민교육의 맥락에서
-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 비교 연구
-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 노년기의 성공적 노화와 취로 활동 : 일본의 오가와노쇼 오야키무라 사례를 중심으로
- 핀란드의 교원규모 결정 및 교원선발 정책 탐색
- 글로벌 교육의제에 반영된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육의제에‘학습’은 어디에 있는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