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서사 교육 방안 제안
이용수 287
- 영문명
- Suggestion of Classic Narratives Education through Game Scenario Writing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대광(Kwon Daekwa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2호, 319~3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학생 참여의 고전 문학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로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제안한다.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디지털 게임의 기획 단계의 목적으로 게임이 가진 서사적 세계를 구현하는 활동이다. 게임은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이미 익숙한 매체다. 이 글에서는 학습자가 해당 매체에 대해 가진 친연성을 토대로 문학 수업에서 고전문학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에 대해 고찰했다. 게임과 문학교육과의 상관성은 일찍이 논의된 바 있다. 특히 에듀테인먼트 방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에듀테인먼트의 논의는 학습자를 단순히 수용자 의 입장에 머무르게 할 뿐 학습자의 창작 활동에 대해서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 기존 개발된 에듀테인먼트 게임들은 유•아동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문학교육에 관련한 콘텐츠들은 거의 없었다.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문학 교육은 학습자에게 해석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이뤄지는 재창작 활동을 의도한다. 특히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협업에 의한 글쓰기 과정과 과정 중심적 쓰기 과정이 중요시된다. 아울러 목적 텍스트인 게임이 가진 디지털 문식성을 구현하기 위한 제반 요소들이 고찰되어야 한다. 하지만 문학교육을 위한 재창작 장면에서 기존에 논의됐던 다중적 플롯, 게임 장르의 한계적 설정, 상호작용성의 강화 등이 강조될 필요는 없다. 이는 게임 플레이가 배경하고 있는 기반적 스토리 속에 고전문학 서사를 활용하는 방법 등으로 극복될 여지가 있다. 또한, 실제적인 게임 창작에 이르는 과정 또한 GUI 기반 게임 툴로 극복이 가능하며, 교실 수업 내에서 구현할 수 있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텍스트의 이야기성, 교수학습의 유의미성, 창작의 협동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 이 과정을 계획하기, 요약하기, 줄거리 쓰기, 시나리오 쓰기, 평가하기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했다. 계획하기는 해석과 재현 활동으로 나누어 대상텍스트에 대한 해석과 이를 게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재현 계획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이후 과정은 이에 개연성을 부여하고, 공동 작문의 과정을 통해 신별 시나리오를 쓰는 활동이 유기적으로 안내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가진 고전문학과의 시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고전서사의 향유 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poses writing a game scenario of seeking ways to learn classical literature teaching in student participation. Writing game scenario is an activity that constructs the narrative world of the game in the design stage of a digital game. The game is already familiar narrative works for school learner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method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affinity with the games.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literary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Especially diverse discussions have been held in edutainment. However, the discussions of edutainment have limited at the learner’s creative activity, make the students stayed in merely the audience’ s position. In addition, existing edutainment games are mostly for children, and there are few contents related to literature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writing game scenario aims at recreating activities by giving the learner a hermeneutics status. In writing game scenario, the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is important. And digital literacy of the digital game should be also considered.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overemphasize the multiple plots, the restriction on the subgenre’s feature, and the enhancement of interactivity.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the writing of game scenarios should emphasize on storytelling,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ooperation of creation. The Game scenario writing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summarizing, plot writing, scenario writing, and evaluation. Planning is divided into 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activities. The subsequent processes are suggested that the giving probability to each motif and guiding collaborative writing. Through this, we expect learners to be able to overcom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to become the beneficiary of the classical literatur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게임 서사 창작의 고전서사 교육 가능성
Ⅲ. 게임 시나리오 쓰기의 과정과 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덕스런 버스]의 여성혐오주의논란에 대한 성(性)의지 관점에서의 재해석
- 연극인 김방옥의 시선
- 공공선택론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지역주의와 공천
- 21세기 스승의 참모습에 대한 주관성 연구
- 한국에서 유럽연합으로의 기계와 수송 장비 수출에 미치는 중국의 영향
- 조총련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총련의 정체성
- 중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 한국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정치리더의 역할 - 경험적 비교연구의 방향과 과제
- 생태도시의 정책가치에 관한 시론 - 생태성·순환성·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국의 사기업과 공공기관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비교연구
-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 - 동천 재생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사례를 중심으로
-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서사 교육 방안 제안
- 복수하는 ‘미친’ 여자들과 가족의 해체 - <비밀은 없다>를 중심으로
- 근대시형성기 시에서의 화법 변이 연구
- 연해주의 원주민을 바라보는 어느 러시아인의 이야기 - 데르수 우잘라, 아르세니예프 저
- 적정한 공간계량경제모형의 탐색
-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