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 - 동천 재생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24
- 영문명
- River governance in Busan? - Focusing on the case of Dong-cheon Regeneration Master Pla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고운(Kim ko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2호, 33~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하천은 한국사회에서 도시 재생뿐만 아니라 도시 물 거버넌스의 주요 의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형 하천인 동천의 관리와 지역 재생을 둘러싼 거버넌스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 기존의 부산 지역 내 하천 관리 거버넌스 역사와 제도발전의 요소를 연결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발전연구원이 부산시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동천 재생 마스터 플랜” 수립과정 및 이후 2016년 12월까지 동천 관련 지역 하천거버넌스 및 부산시 하천거버넌스이다. 연구 방법론은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 분석으로서 핵심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반 구조화된 면담 조사기법(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을 활용하였다. 제도로서 부산시와 동천 하천 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영향 요소 분석을 통해 볼 때 2000년대 초반에 형성되어 현재까지에 이른 부산 하천 거버넌스는 진화해왔다. 동천 유역 거버넌스는 재생마스터플랜 작성 과정과 이후 과정에서 하천 환경을 유역 공동체, 도시재생과 연계하여 모색하는 확장된 거버넌스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유역시민단체의 결합으로 부산시 하천 거버넌스의 진보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Urban stream management has become a focal agenda of urban water governance and urban regener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looks at the case of the Dong-cheon, a local stream, running from the business district in Seo-Myeon to the North Harbour of Busan. This paper examines how a local NGO was created within tthe Dong-cheon river governance through the process of Dong-cheon Master Plan project and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gress of Busan River Governance. This research depends o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Semi-structured stakeholder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 institutional analysis confirms that river governance practices in Busan evolved so far.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process, river governance at the Dong-cheon has been expanding its focus: ecosystem, communities and urban regeneration. Having a new basin NGO at the Dong-che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evolution of city-level river governanc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제도로서 하천 거버넌스의 발전
Ⅲ. 부산시 하천 거버넌스의 생성과 발전
Ⅳ. 동천 거버넌스의 생성과 발전
Ⅴ. 결론 :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와 발전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덕스런 버스]의 여성혐오주의논란에 대한 성(性)의지 관점에서의 재해석
- 연극인 김방옥의 시선
- 공공선택론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지역주의와 공천
- 21세기 스승의 참모습에 대한 주관성 연구
- 한국에서 유럽연합으로의 기계와 수송 장비 수출에 미치는 중국의 영향
- 조총련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조총련의 정체성
- 중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 한국 지역발전을 위한 지방정치리더의 역할 - 경험적 비교연구의 방향과 과제
- 생태도시의 정책가치에 관한 시론 - 생태성·순환성·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국의 사기업과 공공기관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비교연구
- 부산 하천 거버넌스의 진화? - 동천 재생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사례를 중심으로
-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서사 교육 방안 제안
- 복수하는 ‘미친’ 여자들과 가족의 해체 - <비밀은 없다>를 중심으로
- 근대시형성기 시에서의 화법 변이 연구
- 연해주의 원주민을 바라보는 어느 러시아인의 이야기 - 데르수 우잘라, 아르세니예프 저
- 적정한 공간계량경제모형의 탐색
-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