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광 재료용 다이포스핀-다이골드 착물의 합성과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Diphosphine-digold complexes as Light-Emitting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준호(Kim JunHo) 손병청(Sohn ByungChung) 하윤경(Ha YunK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유화학회지 제19권 제2호, 103~10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phosphine dinuclear gold(I) complexes were synthesized from the reaction of bridged diphosphines and gold ions. As a bridged diphosphine, 1,2-bis(diphenylphosphino)metbane (dppm) or 1,1 -Bis(diphenylphosphino) ferrocene (dppf) was introduced. As anionic ligands, CI was first coordinated to Au, resulting in (diphosphine)(AuCl)_{2}. Then, the ligand, SPh, was substituted for Cl in the chloride complex to give (diphosphine)(AuSPh)_{2. As a result, three digold complexes, (dppm)(AuCl)_{2}. (I), (dppf)$(AuCl)_{2}. (II), and (dppf)(AuSPh_{2}. (III) were prepared in this study. The therm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t first hand to confirm that the gold complexes were in fact formed. The digold complexes were decomposed above 200^{\circ}C while the ligand, dppm or dppf, melts under 180^{\circ}CThe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of the spin-coated thin films showed the maximum peak at 590, 595, and 540nm for the complex, I, II, and III, respectively. These complexes were found to give the orange color phosphorescence. Therefore, these digold complexes can be candidates for orange-red phosphorescent materials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OELD). Further studies on application of the complexes as a dopant in an emitting layer are in progress in our laborato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화공정에 의한 글리코시드 지방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 폴리이미드 유기초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PP 가공용 실리콘 유연제의 제조와 물성연구
- Propylene Aromatization에 미치는 온도 및 촉매의 영향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butyl acrylate)/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 Latex by Seeded Emulsion Polymerization
- 인광특성이 있는 금속 착물의 합성과 그 물질을 이용한 소자 제작 및 소자 특성 평가
- 활성탄을 충전한 흡착탑에서 벤젠 회수를 위한 세정공정의 연구
- 발광 재료용 다이포스핀-다이골드 착물의 합성과 특성 연구
- 천연 밀단백질/계면활성제 복합체의 세정에 있어 피부보호
- 형광구조를 갖는 올리고머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