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수의 두 얼굴 - 마가복음의 고기독론 연구 -
이용수 344
- 영문명
- Jesus’Twofold Face: A Study of the HighChristology of Mark’s Gospel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 저자명
- 박윤만(Yoon-Man Park)
- 간행물 정보
- 『신약연구』제16권 제1호, 35~6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마가복음의 고기독론(high christology) 연구이다. 사복음서와 관련해서 본다면 고기독론 연구는 대부분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결과적으로 마가복음은 등한시된 것이 사실이다. 마가복음의 예수님의 신적 정체성 연구는 비단 연구 본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만은 아니 다. 고기독론을 후기 교회의 신학적 발전의 결과로 보는 경향이 있어 왔던 신약학계의 현실에서 사복음서 중 가장 일찍 기록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님의 신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고기독론이 과연 교회 신학의 발전 때문인지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본문은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 임을 드러내는 본문들과 함께 인자와 하나님의 아들로 칭하며 그를 하나 님과 구분 짓고 있는 본문이 될 것이다. 이런 연구의 결론은 마가복음에서 서술된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의“영광과 권위를 공유하시지만 위격과 역할(person and roles)에 대해서는 구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 엘의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로 여겨졌든 아니면 위격과 역할에 있어서 하나님과 구분된 아들 혹은 인자로 이해되든지 간에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체현(embodiment)으로서 예수님의 존재는 일신론의 입장에 서 있었던 당시 유대 사회에 위기감을 일으켰을 것이라는 추측은 충분한 타당성을 갖는다. 내부인으로 여겨진 제자들로부터 나온“그가 누구이기에 바람과 바다도 순종하는가”(4:41)라는 질문이나, 외부인으로 분류된 대제사장의 “그가 신성모독 하는 말을 한다”(14:64)는 선언은 이런 혼돈과 긴장감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한다. 하지만 마가복음은 예수님의 존재와 사역이 유대 일신론에 혼돈과 극도의 긴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모를 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과 하나님을 구분 짓는 본문이 말해주듯이, 일신론을 포기하지도 않고 또, 양자를 동일시하는 본문이 발설하듯이, 고기독론을 축소하거나 은폐하지도 않는다.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동일시되면서도 그와 구분된 존재라는 그의 동시대 누구도‘자연스럽게’이해하지 못한 또 할 수 도 없었던 예수님의 두 ‘신비’로운 정체성이 마가복음에는 공존하고 있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할 까? 나사렛 예수를 통해 드러나고 또 체현된 하나님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떤 정교하게 발전된‘신론’이 유대 일신론이나 헬라 신관 안에 있었고 마가는 그 이론에 따라 예수님을 소개했다는 것보다, 목격자들이 나사렛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먼저 경험했고 후에 그 목격자적 증언을 복음서에 그대로 기록했다는 것이 1세기 나사렛 예수를 둘러싸고 일어난 현실에 훨씬 더 가깝다. 유대 일신론의 틀에서 예수님의 자리매김을 위한‘신론’정립은 이후 교회의 몫이 되는데, 그 순서는 이론 먼저고 그것에 따라 계시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나사렛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와 그 경험이 앞서고 그 계시적 경험을 기초로 후대에 교리가 정립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 study on Jesus’ divine identity (or ‘high christology’) as defined in the Gospel of Mark. The research field is (1) the text which states that Jesus is identical to the God of Israel and (2) the text which shows that as the son of man and the son of God he is distinguished from God. This study makes clear of the fact that Jesus as stated in the Gospel of Mark may share the glory and authority of God but is distinguished in terms of ‘person and roles’. Whether Jesus was considered the same being as God of Israel or whether he was understood as the son of God and the son of man differentiated from the person and roles of God, it is evident that the statements claiming that Jesus is the embodiment of the God of Israel must have raised a sense of crisis in Jewish monotheism.
What does it mean to state that Jesus’ seemingly conflicting two identities which are identical to God of Israel as well as differentiating from the same God‘ naturally’coexists within the Gospel of Mark? The meaning is as follows: The belief that the eye-witnesses first experienced self-revelation through Jesus and later recorded their experiences in the Gospel is closer to the reality surrounding the 1st century Jesus movement than the theory that Mark introduced Jesus’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deity in Jewish monotheism or pagan society (contra Wred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예수, 이스라엘의 하나님
3. 예수, 하나님과 구분된 존재: 칭호, 인물됨, 역할을 중심으로
4.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