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성격과 핵심역량 분석

이용수  856

영문명
An Analysis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Key Competencies in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숙(Kim, Ji-Suk)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0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관련 문헌과 자료를 고찰한 후 주제별로 자료를 분석하고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역량의 지속성과 실현가능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교과역량은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것이므로 지속적이고, 명료하며, 적용 가능해야 한다. 둘째, 실과(기술⋅가정)의 교과역량은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과역량별로 관련 있는 핵심역량이 1~3가지였 고, 전체적으로는 6가지 핵심역량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실과(기술⋅가정)의 교과역 량은 진로교과보다는 일반선택 교과와 연계성이 높았다. 넷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는 핵심/교과 역량의 대부분을 명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다만, 목표 진술의 명료성을 높이고 다양한 동사를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취기준 진술에서 실과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기능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기능은 교과 고유의 탐구 과정 및 사고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교과 역량을 구체화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성취기준 진술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한 기능들이 많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subject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in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mmative content analysis which involved counting, comparisons and interpretation of the underlying contex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competencies were required to be more sustainable, articulate and applicabl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ubject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reflected the key competencies well. Third, it w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Arts and optional subjects related to career fields were relatively weak in terms of subject competencies. Fourth, the skills, which involved unique investigation process and thinking skills in the specific subject on the list in the curriculum should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in describing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increase their suitability on those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의미, 요소 및 특징
Ⅲ. 핵심역량에 기반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분석
Ⅳ. 핵심역량 관점 교육과정 분석의 시사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숙(Kim, Ji-Suk). (2017).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성격과 핵심역량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 (1), 1-18

MLA

김지숙(Kim, Ji-Suk).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성격과 핵심역량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2017):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