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thanol을 전처리한 흰쥐의 간 및 혈청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사염화탄소의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Effect of Carbon Tetrachloride Administration on the Serum and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Ethanol-Pretreated Rat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윤종국 김병렬 이상일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19권 제2호, 69~7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arison of liver damage in carbon tetrachloride (CCl$_4$)-treated rats with that those pretreated with ethanol and an effect of liver injury on the serum and liver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were evaluated. The increasing rate of liver weight per body wt., the level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the decreasing rate of hepatic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and the protein contents in the liver cell were higher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animals pretreated with ethanol than the carbon tetrachloride-treated group. Especially,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also showed more severe liver damage in the ethanol-pretreated rats than the rats tre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only. In such a experimental condition the xanthine oxidase activity of serum and liver both of carbon tetrachloride-treated rats and those pretreated with ethanol were higher than that of each control group. And the increasing rate of xanthine oxidase enzyme activity to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group pretreated with ethanol than those treated with CCl$_4$. In addition, the heptic uricase activity and the serum levels of uric acid were more increased in carbon tetrachloride-treated group pretreated with ethanol than those in the CCl$_4$-treated rat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hepatic cata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between the CCl$_4$-treated rats and those pretreated with ethanol. In conclusion, it is assumed that the more severe liver damage in ethanol pretreated rats would be due to oxygen free radical produced by the xanthine oxidase syst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매추출과 원자 흡수분리법에 의한 해수중의 미량 구리의 정량
- 경기지역 목장수의 위생세균학적 분포
- 수중 휘발성 유기물질의 분석에 관한 연구
- 세정 및 세제사용이 야채 및 과일의 비타민 C 함량에 미치는 영향
- 有害슬러지 固形化에 따른 重金屬 溶出防止剖의 影饗
- 부산지역 음용수의 세균학적 특성
- 무기수은이 마우스의 간장 및 신장내 효소반응에 미치는 영향
- 산업보건사업의 경제성 분석
- Ethanol을 전처리한 흰쥐의 간 및 혈청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사염화탄소의 영향
- 혐기성 유동층 생물 반응기와 새로운 모델의 AFPBBR에서 유기성폐수 처리시 Biogas 생성과 반응상수에 관한 연구
- Carbamate 중독에 대한 감초, 흑두 추출액의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 정수처리시 잔류알루미늄 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영향인자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