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 표지 ‘있잖아’의 기능에 대하여
이용수 546
- 영문명
- On the Function of Issjanha as a Discourse Marker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동혁(Lee Donghyeok)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1호, 577~6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일상 대화에서 쓰인 담화 표지 ‘있잖아’의 기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논항을 취하고 명제 내용에 관여하는 실질 용언의 ‘있잖아’와 달리, 담화 표지 ‘있잖아’는 일상 대화 속에서 다음과 같은 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첫째, 담화 표지
‘있잖아’는 [마디]-[담화 표지-마디]에 놓여 화제를 도입하는 데 초점을 둔다. 그런데 앞 화제와 의미적으로 단절되어 새로 화제를 구성하는 마디의 앞에 놓이어 화제 전환에 관여할 수도 있지만, 새로 화제를 구성하더라도 앞 화제와 의미망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어서 화제 추이에 관여할 수도 있다. 둘째, 화제가 바뀌는 지점에 ‘있잖아’를 두어서 청자에게 화제가 바뀐다는 신호를 일부러 보내어 청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와 같이 청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이유는, 청자에게 갑자기 새로운 지
식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은 청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어 청자의 체면을 손상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 때 담화 표지 ‘있잖아’는 화제 이동으로 인한 청자의 체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거나 줄이기 위한 공손성 장치로 쓰인다. 셋째, 화제의 내용
을 잘 알고 있지만 그 화제를 지시할 정확한 언어 기호를 모를 때 어휘부에서 그 기호를 탐색하는 과정에 담화 표지 ‘있잖아’가 쓰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functions of issjanha as a discourse marker. The functions of issjanha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ased on Maschler(2009). Firstly, issjanha has a textual function. It introduces a topic, which makes all the utterances keeping coherence in the part of conversation. It is general that issjanha consists in constructions X issjanha or issjanha X, where X is a topic.
If hearer takes part in X, the hearer is not a topic but an appellation. Secondly, issjanha has an interpersonal function. Hearers usually focus on the one topic. If speakers change a topic without notifying to hearer, hearers lose face. The loss of face can be prevented with issjanha as a discourse marker. Thirdly, issjanha has a cognitive function. Though speakers know the contents of a topic, sometimes they don’t know the exact linguistic sign referring the contents. In that case speakers can use issjanha while searching for the sign, and issjanha works for keeping their turn in conversation.
목차
Ⅰ. 서론
Ⅱ. 담화 표지의 기능
Ⅲ. 담화 표지 ‘있잖아’의 기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어고금주]를 읽으면서
- 공공부문 사회복지직의 정보관리 역량강화 방안
- 부산지역의 소설과 매체에 관한 고찰
- 상하이 루쉰 생가의 보호와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 근대 잡지 광고의 특성 연구
- 마산오광대의 연극적 특성 연구
- 패널자료를 활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 목적 없는 고의 있는 도구를 이용한 경우 간접정범의 성부
- 영어와 한국어 초점사 비교 분석 연구
- 문화재단의 연극 지원 사업 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정체성의 조절효과
-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지역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시와 삶의 치유에 대한 연구
- 중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 대화주의적 관점에서의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글쓰기 수정 방법과 의의
- 갈등지각자의 학습지향성이 팀 내 갈등전이에 미치는 영향
- 담화 표지 ‘있잖아’의 기능에 대하여
- 뇌성마비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분석
- 중국 호방사(豪放詞)에 나타난 문화지리적 원류 고찰
- 축제로서의 시인프라 방향성과 대중화 방안
- 고리원전 1호기 재가동에 대한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행태에 대한 비교 연구
- 김명순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에 대한 시선
- 김명순, 여성 혐오를 혐오하다
- 일제강점기 이왕가(李王家)의 세습재산
- 20세기 전후 부산의 외래 공연예술
- 외국인 직접투자의 미얀마 산업별 및 국내총생산에 대한 영향 분석
- 대학 수업컨설팅의 교수방법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 김명순의 자전적 글쓰기와 연애의 사상
- 서울과 부산의 연극문화지형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