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네일 미용분야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이용수  268

영문명
Bibliometric Analysis on Nail Beauty Research Trends
발행기관
한국뷰티산업학회
저자명
김진숙(JinSook Kim) 김은영(Eunyoung Kim) 유미금(meegeum Yoo)
간행물 정보
『뷰티산업연구』제7권 제2호, 57~7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의상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네일 미용 분야와 관련된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네일 미용 연구동향을 계량지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사용된 단어를 파악하기 위해 KrKwi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수를 추출하였다. 연도별 현황, 학회별 논문 발표 수와 서명에 나타난 단어로 산업 형태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KrTitl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출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연도별 논문 발표수와 학회지별 논문건수, 연도별 단오출현 빈도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네일 미용 연구의 흐름과 산업의 흐름도 알 수 있다. 이런 분석단계를 거쳐 나온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네트워크 지도로 표현했다. 연구결과로는 네일 미용의 연구가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일반인들의 네일 관리에서부터 네일아트로까지 발전하게 되었고,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서비스측면이나 심리적인 측면도 네일 미용이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0년대후반 부터는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인 단어의 빈도가 늘어남을 볼 때 네일산업과 네일 연구에서 관리나 디자인적인측면의 발전과 더불어 심리적인 측면에 한층 더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기반으로 네일 미용의 분류에 의해서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향후 세부적인 파악을 위해 네일 미용의 사회적 기능, 예술적인 기능 등의 연구로 네일 미용의 기능이 외적인 측면만 을 위할 것이 아니라는 미용학 본연의 연구와 함께 사회심리적인 기능, 미용경영연구의 확장, 등 문화콘텐츠의 활용 등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연구체계가 정립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expression of nail beauty is an expression of his personality and message. Therefore, it is influenced by cultural phenomenon and the fashion, play a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Variety roles and functions of nail beauty has a lot of influen on Modern society and has been extended in Academia and industry. However, research of the field in nail beauty and the social atmosphere is very insufficient service. This study was analyzed research trends of nail beauty from bibliometric, published in the country and contained in journal papers related to the field of beauty. And the word was used in collected papers KrKwic program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extracted. Although nail beauty is applied arts but in terms of the visual nature of art, that is composite arts. The next, nail beauty to determine the detailed beauty of the social function, art must have functional studies. Psychosocial function of nail beauty and beauty management studies will be extended. Such as the use of cultural content, such as fusion research system is complex and seems to be establish.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II. 이론적 고찰
1. 네일 미용의 정의
2. 네일 미용의 분류
III. 네일 분야 연구현황 및 구조분석
1. 네일 미용분야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구조분석
2. 네일 미용 국내학술지 논문의 서명 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숙(JinSook Kim),김은영(Eunyoung Kim),유미금(meegeum Yoo). (2013).네일 미용분야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뷰티산업연구, 7 (2), 57-72

MLA

김진숙(JinSook Kim),김은영(Eunyoung Kim),유미금(meegeum Yoo). "네일 미용분야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뷰티산업연구, 7.2(2013): 57-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