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after the WTO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이용기(Yong Kee Lee)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농업경영·정책연구 35권 4호, 687~7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verall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after the WTO (World Trade Organization), seeking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agriculture. Empirical data over ten years before 1995 are compared with those over the same period after 1995 to see how the agricultural structure has changed since the WTO. The results show that there have been substantial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agriculture in the light of agricultural GDP (gross domestic product), production, farm income, agricultural prices, and trade. Agricultural GDP, in particular, which had rapidly grown at an annual rate of 8.6% in nominal term over ten years before the WTO has sharply contracted to 0.9% in annual growth rate after the WTO, meaning that Korean agriculture has entered the era of long-run stagnation. To regain the past growth momentum in agricul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agriculture should be changed to more efficient and competitive agriculture by converting the agricultural structure into capital- and technology-intensive one, along with continuous technical inno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WTO 이후 한국 농업구조의 변화
Ⅲ. 정책적 함의와 과제
Ⅳ.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싹․베이비 채소 생산농가의 판매처 우선순위 설정
- 영농승계자 보유 농가의 특징과 시사점
- 한․미 FTA가 포도 농가의 재무구조에 미치는 파급영향
- DEA/Window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효율성 분석:
- WTO 출범 후 한국 농업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The Korea-EU FTA Negotiation in Agriculture :
-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개선 방안
- 지니계수분해법에 의한 식품류별 지출탄력성의 변화 분석
- 한우비육에 있어서 TMR 사양의 경제적 효과
- 사회간접자본이 농촌개발투자효과의 지역간 격차에 미치는 영향
- 농산물 가격 변동성을 어떻게 계측할 것인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