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lam and Religious Syncretism in Central Asia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오은경(OH, Eun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27권 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eoples of Central Asia began to accept Islam from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however, in those regions Islam took on different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slam in Central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syncretism.
First I focus on how Islam spread throughout Central Asia in order to identify the origins of religious syncretism. Secondly I deal with the main factors of syncretism in Central Asia that can be explained both by Sufism and the Hanafi school of law belonging to the Sunni sect.
When Islam appeared in Central Asia in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people did not want to accept a new religion and in the process abandon their own indigenous religion. Therefore, the ruling class had to take a carrot and stick approach to convert people to Islam.
In addition, Sufism and the Hanafi school of law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ccepting Islam in Central Asia. Sufis introduced a variety of religious practices to the Central Asians including new music, dance and dhikr. Above all, they respected the Saints in the mausoleum. Through this behavior, Sufis were able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local people.
Hanafi law was very flexible interpreting the Koran(Quran) and the Hadiths.Hanafis reinterpreted the concepts of indigenous Tengrism and religion so that local folk might be able to accept Islam.
Consequently, Central Asian practices and customs such as Animism, Totemism, Tengrism and Shamanism, which had existed since ancient times could be assimilated into Islam, thus recreating Islam into a form called “Folk Islam”. Islam in Central Asia and Syncretism of Religion.
목차
Ⅰ. 서론
Ⅱ. 중앙아시아 이슬람과 종교적 신크레티즘 1. 중앙아시아 이슬람 전파와 종교적 신크레티즘 배경
2. 종교적 신크레티즘 가능요인
1) 수피주의의 신비주의적 특성과 토착지역 문화의 조화
2) 하나피 법학파의 교리적 포용력과 유연성
3. 종교적 신크레티즘의 결과:
민속이슬람(Folk Islam)의 출현
III.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생성형 AI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 역할의 재정립
- 청소년의 자기과시성향, 사회자본 및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기본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주요국 인공지능 관련 법제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기독교의 공공성과 교회의 연대성 - 트라우고트 예니헨의 윤리 이론의 토대
- 탈병리학적(post-pathological) 불안으로서의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불안: 존재의 용기를 매개로 한 존재 자체로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