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블랙 콤브 산 정상에서 눈멂과 통찰

이용수  56

영문명
Blindness and Insight on the Top of Black Comb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주혁규(HyeukKyuJoo)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2권 1호, 193~21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사회 지리의 관점에서 영국 낭만주의 작가 윌리엄 워즈워스가 영국 호수 지역 남단에 위치한 블랙 콤브 산을 소재로 창작한 두 편의 시 「블랙 콤브 정상에서 조망」과 「블랙 콤브 산허리 돌에 석필로 적은 시」를 분석하려 한다. 풍경은 한 집단의 문화 상징으로서 사회적, 정치적 속성을 가진다. 첫 번째 시에서 관찰자는 산 정상에서 풍경을 조망하면서 영국을 구성하는 개별 지역을 “한 시선을 따라 이어지는” 파노라마로 구성한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통합된 영국이라는 추상적 동질화를 공고히 하여 국가를 대변하는 국민 시인이 되려는 시인의 의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괄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결말부에서 담화의 갑작스러운 전이는 통합적 비전의 불안전함을 제시한다. 두 번째 시는 산 정상에서 지도 제작을 하는 도중에 갑자기 어둠에 싸여 지도상의 기호나 상징조차 볼 수 없게 된 상황에서 홀로 눈을 감지 않은 채 있는 한 “지리 노동자”의 경험을 극화하여 신체적 눈의 한계와 더불어 개별 사물의 특색을 전유하여 총체화 하는 시각과 기호나 수치로 사물을 추상화하는 시각의 문제점과 한계를 제시한다. 두 편의 시를 통해 워즈워스는 풍경 관찰에서 신체적 눈과 마음의 작용을 결합시켜 사물의 개별적 특수성과 추상적 일반성을 통시에 통합하는 대안적 시각의 필요성을 암시하면서 이를 이상적 공동체 구성방식으로 확대한다.

영문 초록

Read together, Wordsworth’s two celebrated Black Comb poems offer a remarkable case in which landscape embodies and determines the viewer’s personal and national identity. The two are poems of social geography and mainly concern what is implicated in representing landscapes. The viewer of “View from the Top of Black Comb” goes great lengths to create a comprehensive and unified landscape, envisioning a homogenized national identity for England in wartime. His efforts, however, become problematic in an abrupt shift in his eyesight and narration. “Written with a Slate-pencil” delineates a state of the surveyor unable to see the lines and symbols of the map in total darkness while sitting alone with unclosed eyes. Wordsworth aptly dramatizes the limits of physical eyes and the danger of losing lived reality in cartography encoded with mathematical abstraction and cultural symbols, as well as imperialistic views which forcefully unify local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Wordsworth sheds light on an alternative way of seeing things that coheres individual particulars into unified generality and expands this vision to the composition of an ideal community.

목차

I. 서론
II. 「조망」
III. 「석필로 적은」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혁규(HyeukKyuJoo). (2017).블랙 콤브 산 정상에서 눈멂과 통찰. 비평과 이론, 22 (1), 193-216

MLA

주혁규(HyeukKyuJoo). "블랙 콤브 산 정상에서 눈멂과 통찰." 비평과 이론, 22.1(2017): 193-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