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THE DETECTION OF THE TUMOROUS CHANGES OF REMAIND ENAMEL EPITHELIUM IN THE IMPACTED HUMAN TOOTH FOLLICLE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박영욱(Young Wook Park) 김지혁(Ji Hyuck Kim) 이석근(Suk Keu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216~22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ellular activity of remaind enamel epithelium of impacted tooth follicle, we have examined 75 tooth follicular tissues from impacted teeth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Particular focus on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antiapoptosis of remaind enamel epithelium was made. Follicular tissues were removed from impacted teeth, fixed in neutral formalin and prepared for 4㎛ thick 20 serial sections. Hematoxylin & eosin staining was done routinely, and the mucopolycharide materials of myxoid odontogenic mesenchyme was detected by histochemical reactions of toluidin blue, PAS, Van Gieson, Masson s trichrome Various antibodies, i.e.,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and Ki-67 for proliferative activity, transglutaminase-C, transglutaminase-K, transglutaminase-E, TGF-β₁, bcl-2, and p53 were used. Apop-tag staining was also done to detect the phenomenon of apoptosis. Both of the reduced enamel epithelium in the luminal side of tooth follicle and the enamel epithelial rests scattered in the wall of tooth follicle showed frequent positive reaction for the PCNA and Ki-67, and these cells were also positive for the transglutaminase-C, K, E. On the other hand the enamel epithelium was not stained by Apop-tag staining but weakly positive for bcl-2 and p53. Relatively high amount of myxoid odontogenic mesenchyme was also diffusely observed in the tooth folliclular tissu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myxoid odontogenic mesenchym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enamel epithelial rest infiltra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may suggest that the remaind enamel epithelial cells are biologically acitive rather than the dormant state after the completion of tooth formation, and that the remaind enamel epithelium may has interaction with odontogenic mesenchyme and will not be degraded easily but may have a potential for the odontogenic tum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재료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총괄 및 고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강악안면 암환자의 초진시와 추적검사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의 임상적 유용성
- 사람의 매복치 치배낭에 잔존된 법랑상피의 종양성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한국인 하악 제3대구치(지치)의 맹출상황에 대한 연구
- 지도 작성을 통한 악관절원판의 위치에 관한 연구
- 측완피판(Lateral upper arm free flap)을 이용한 구강내 결손부의 재건
- 하악매복지치 발치술중의 맥박 변화
- 이글씨 증후군의 치험례
- 생흡수성 폴리(PLLA-PGA) 메쉬 트레이와 자가입자망상골 및 늑골을 이용한 편측 하악골 결손의 재건
- 개에서 구내 신연장치를 이용한 치조골증대술
- 구강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와 골육종 세포주에서 Taxol?怜? Cisplatin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
- 한국인의 종아리뼈와 종아리동맥에 관한 국소해부
- 난소절제후 백서 대퇴골 골주의 형태계측학적 변화와 세포내 osteopontin mRNA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 Rickett s 분석법에 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과 Ⅰ급 정상교합의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