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IN DOGS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오희균(Hee Kyun Oh) 오유근(Yu Keun Oh) 정현(Hyun Jung) 유선열(Sun Youl Ryu) 최홍란(Hong Ran Choi)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5권 제3호, 261~26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advantages of using the new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Four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We designed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for augmentation of vertical height of the edentulous ridge. The left upper and lower premolars and first molars were extracted and an alveoloplasty was performed to simulate an atrophic ridge. After 12 weeks of healing, an osteotomy was made and the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was applied in order to distract alveolar segment upward. A permucosal pin was exposed intraorally. Latency period was allowed for 7 days before distraction began. The distraction device was activated with a rate of 1.0 ㎜/day for 9 days. At 2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distraction, the device was removed. At 8 weeks after distrac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Macroscopically, no significant abnormalities such as infection were occurred in the distracted area. The average distracted distance was 7.6±1.4 ㎜ and new bone was formed in the distracted gap in all animals. Bone remodeling without crestal bone resorption was observed in the distracted area. In several animals, fibrous tissue was present in the buccal cortical bone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raoral distraction device may have the potential for use in augmentation of the atrophic edentulous ridg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재료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강악안면 암환자의 초진시와 추적검사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의 임상적 유용성
- 사람의 매복치 치배낭에 잔존된 법랑상피의 종양성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한국인 하악 제3대구치(지치)의 맹출상황에 대한 연구
- 지도 작성을 통한 악관절원판의 위치에 관한 연구
- 측완피판(Lateral upper arm free flap)을 이용한 구강내 결손부의 재건
- 하악매복지치 발치술중의 맥박 변화
- 이글씨 증후군의 치험례
- 생흡수성 폴리(PLLA-PGA) 메쉬 트레이와 자가입자망상골 및 늑골을 이용한 편측 하악골 결손의 재건
- 개에서 구내 신연장치를 이용한 치조골증대술
- 구강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와 골육종 세포주에서 Taxol?怜? Cisplatin의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
- 한국인의 종아리뼈와 종아리동맥에 관한 국소해부
- 난소절제후 백서 대퇴골 골주의 형태계측학적 변화와 세포내 osteopontin mRNA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 Rickett s 분석법에 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과 Ⅰ급 정상교합의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