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Withering Time on the Major Phytochemical Components and Aroma Pattern of T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이란숙(Lan Sook Lee) 박종대(Jong Dae Park) 김영붕(Young Boong Kim) 김상희(Sa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2권 제4호, 126~130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withering time on the major phytochemical components and aroma pattern of tea leaves during tea manufacturing. The total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decreased, whereas the gallic acid content in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catechins, except for (+)-catechin gallat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the content of cis-catechins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corresponding epimers, trans-catechins. Moreover, the aroma patterns obtained using the electronic nose based on gas chromatography with a surface acoustic wave sensor showed that new peaks occurred from 2 to 6 sec in the 20 h withered tea.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기재배 차나무의 주요 해충 종류와 유기농업자재의 살충 효과
- 위조시간에 따른 차의 주요 성분 변화 및 향기패턴 분석
- 수확시기가 다른 국산 홍차류의 휘발성 향기 성분
- 韓國茶道의 철학적 기반
- 동아시아 제다의 무형문화재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 ‘제다’의 전승방안 모색
-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티 에티켓 확산양상
- Flavonoid의 흡수·대사
- 내병 다수성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신품종 “보림” 육성
- Rwanda Tea Production, Consumption, Export and Added Value
- 차응애에 대한 Emamectin Benzoate의 살응애 활성
- 한국성인 일부의 녹차의 인식도와 소비행동
- 차문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사회성 향상
- 『부풍향차보』의 제다와 다구론(茶具論)
- 중첩중력에너지가 우엉 차의 이화학적,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보이차(Pu-erh tea)의 HaCaT 세포보호 및 HCT116 세포사멸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