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주광역시 대기오염측정소 주변 교통량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
- 영문명
- The Effect of Traffic Volume on the Air Quality at Monitoring Sites in Gwangju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이대행(Dae-Haeng Lee) 안상수(Sang-Su An) 송형명(Hyeong-Myeong Song) 박옥현(Ok-Hyun Park) 박강수(Kang-Soo Park) 서광엽(Gwang-Yeob Seo) 조영관(Young-Gwan Cho) 김은선(Eun-S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0권 제3호, 204~21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Vehicular emissions are one of the main sources of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air pollutants and traffic volume in order to identify causes of air pollution in Gwangju.
Methods: Using traffic volumes and ai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2002 to 2012 from nine stations (seven urban areas, two roadside areas), especially at three sites where traffic volumes were hi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between air pollutants as PM-10 (particulate matter), NO 2 , SO 2 , CO and O 3 at the stations and traffic volumes near the air monitoring stations.
Results: Due to traffic volume and distance between the station and the traffic road,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at roadside areas were higher than at urban areas, with the exception of O 3 . The concentration of O 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with those of other gas materials as NO 2 , SO 2 , and CO in winter (p<0.001) and spring (p<0.05).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7 to 20, 2012, excluding periods of yellow dust, smog and rainy season, the ratio of NO/(NO+NO 2 ) showed the highest value 0.57 and 0.40 at Unam and Chipyeong of two roadside stations, followed by 0.35 at Nongseong with vehicular effec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raffic volume and O 3 , CO, NO 2 became higher when the data on mist and haze days were excluded, than when all hourly data were used in that period, at the three sites of Unam, Chipyeong, and Nongseong.
Conclusions: Air quality showed a considerable effect from vehicles at roadside areas compared to in urban areas.
Air pollutant diminishment strategies need to be aggressively adopted in order to protect atmospheric environment.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 경영컨설팅 방법론을 이용한 감염병 실험실의 생물안전 위해성평가 조화기준 도출
-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비발암 위해성평가
- 대기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의 소나무 잎, 소나무 껍질 및토양으로의 침착 특성
- 여성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이용한 환경보건 연구 방법의 고찰
- 광주광역시 대기오염측정소 주변 교통량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과 항생제 내성 대장균 분포에 관한 연구
- Ortho-phenylphenol을 주성분을 하는 훈증소독제의 Trichophyton mentagrophytes, Candida albican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에 대한 살진균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