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Hand Hygiene Practices among Female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김종규(Jong-Gyu Kim) 김중순(Joong-S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0권 제3호, 245~2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and washing awareness of females and load of indicator bacteria on their hands.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ation according to their age.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bacterial analysis of indicator bacteria were carried out for 100 Korean women in their age from 20 s to 60 s. Hand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modified glovejuice method.
Results: In the surve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as found among the age groups in the use of hand washing agents. The levels of aerobic colony count (ACC) were the highest in both hands among the 20s (p < 0.05). The levels of Escherichia coli were higher in both hands in their 20s and 30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However, the positive rates of S. aureus (left hand, 37.5~47.1%; right hand, 58.5~62.5%) and Salmonella spp. (left hand, 25.0~52.9%; right hand, 37.5~64.7%) were higher in the hands of the 20s and 30s, and then showed decreasing trend according to increase of age. The effect of hand washing frequency on the ACC level of hands was significant (p < 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of hand hygiene awareness among female age groups. The detection of S. aureus and Salmonella spp. on the hands of some females in each age group revealed poor hand hygiene practices. The significant effect of hand washing frequency on the ACC level suggests that frequent hand washing is helpful to reduce hand contamination.
Keywords: Awareness, Females, Hand hygiene, Indicator bacteria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VI.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 경영컨설팅 방법론을 이용한 감염병 실험실의 생물안전 위해성평가 조화기준 도출
-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비발암 위해성평가
- 대기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의 소나무 잎, 소나무 껍질 및토양으로의 침착 특성
- 여성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이용한 환경보건 연구 방법의 고찰
- 광주광역시 대기오염측정소 주변 교통량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과 항생제 내성 대장균 분포에 관한 연구
- Ortho-phenylphenol을 주성분을 하는 훈증소독제의 Trichophyton mentagrophytes, Candida albican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에 대한 살진균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