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상사계약원칙 손해배상규정상 기회상실의 손해
이용수 66
- 영문명
- Loss of Chance in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현정(Pak Hyun jung)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32권 제4호, 277~3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UNIDROIT에 의해 완성된 국제상사계약원칙(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이하 PICC) 제7.4.3조에서는 손해의 확실성(Certainty of harm)을 규정하고 있는데 특히 제2항에서는 기회의 상실(loss of a chance)에 대한 배상은 발생가능성에 비례하여 인정될 수 있다고 한다. 손해의 발생 사실은 틀림없지만 손해의 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운 경우 예를 들면, 기회의 상실인 경우 손해금액을 충분히 확실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 일체의 배상을 하지 않거나 명목적 배상을 하는 대신, 법원이 발생된 손해에 대해 공정한 평가를 하도록 한다. 여러 국제계약법원칙에서 보통은 손해배상청구권에 관한 원칙이나 손해배상액의 일반적인 산정에 관한 원칙 규정에서 상실된 이익을 포함한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규정을 두고 예견가능성 등을 규정하더라도 PICC 제7.4.3조처럼 손해의 확실성(Certainty of harm)의 규정을 독립하여 두고 있는 경우는 PICC가 특별하다. PICC의 제7.4.3조에 대응하는 직접적인 규정이 CISG나 PECL에는 없다. 특히, 기회의 상실(loss of a chance)에 대한 배상을 발생가능성에 비례하도록 하는 규정은 여러 국제계약법원칙들 중에서 PICC가 유일하다. 이러한 PICC의 규정이 이해하기가 쉽게 규정되지는 않았다. 동 조의 이해를 위하여 비교법적인 기원을 검토해 보면, 프랑스, 벨기에, 오스트리아, 영국에서 법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장래의 이익의 상실에 대한 손해배상을 인정해 왔다. 기회의 상실에 대한 손해배상을 그 기회의 실현 확률의 정도에 따라 인정하도록 한 배경은 이처럼 유럽의 몇몇 국가들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PICC의 제7.4.3조 제2항 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지는 이론은 프랑스민법의 기회상실이론(perte d une chance)이다. 기회의 상실에 기인한 배상의 이론적 문제를 논하기 위하여 유형화하여 이익을 얻을 기회를 놓치는 경우, 절차적 기회의 상실 및 치료기회의 상실 유형 등을 살펴 본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회의 개념을 인정하고 이를 상실한 경우에 책임법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실된 재화의 객관적인 평가가 인정된다면 피해자에게 상실된 기회의 발생가능성에 상응한 가치에 대한 배상을 선택적으로 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그 기회가 독자적이고 명확히 이용가능하고 보호되는 재화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조건으로 주어질 것이다. 이러한 요건은 이익취득 그리고 절차상의 기회의 상실에서 특히 그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Article 7.4.3(Certainty of harm) of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compensation is due only for harm, including future harm, that is established with a reasonable degree of certainty. Under Art 7.4.3(2), damages should be awarded in proportion to the probability of the chance occurring, whereas under Art 7.4.3(3) the tribunal has a much broader discretion in selecting the figure that is appropriate on the facts of the case. It is likely that tribunals will seek to avoid the all-or-nothing consequences of the first or the final option but will opt for the second or the third option. These options give to tribunals more flexibility in reaching a result which seems to be just on the facts of the case (although the price of such ‘justice’ is a greater degree of uncertainty as to the outcome of cases). This seems to be what has happened in practice and a number of cases can be found in which tribunals have awarded damages either under Art 7.4.3(2) or Art 7.4.3(3). However, in some cases it is not entirely easy to work out whether the tribunal awarded damages under Art 7.4.3(2) or (3).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under Art 7.4.3(2), a tribunal has a range of discretion in placing a value on the chance that has been lost.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visions in that the discretion of the tribunal is greater under Art 7.4.3(3) than it is under Art 7.4.3(2).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국제상사계약원칙상의 손해배상 규정
Ⅲ. 기회상실의 비교법적 검토 및 유형화
Ⅳ. 결론-기회상실한 손해의 발생가능성에 비례한 배상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정신보건법의 주요내용과 향후의 과제
- 일본의 외국인간호사·개호사 수용제도
- 资本三原则的功能更新与价值定位
-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금에 대한 소송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임원보수 공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criminal judicial policy study of juvenile delinquency in South Korea
-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
- 가습기살균제 등 화학제품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연구
- 完善中国换股并购法制的理论思辨与实践进路
- 韩国对少年犯罪的刑事司法政策研究
- 신상정보공개제도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
- 징계의 시효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
- 미국의 기부연금제도
- 신탁제도에 관한 연구
- 집회 등에서의 복면착용 금지와 형사처벌
- REAL ID Act of 2005 - Privacy Concerns, Questionable Efficiency, and Uncooperative States -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상의 지적재산권의 하자에 대한 연구
- 국제상사계약원칙 손해배상규정상 기회상실의 손해
- 변호사업무 광고에 관한 법규정의 타당성 여부
-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