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폭행·협박 후 불법영득의사에 의한 재물취득과 강도죄 성립 여부
이용수 142
- 영문명
- The Completion of Robbery and the Willingness to Acquire Property after The Assault and Intimid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최대호(Choi Dae ho)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27卷 第2號, 175~20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udied whether the robbery completes or not in the willingness to acquire property after the assault and intimidation. For example, the acquisition of property from a person who had been fainted by violence for the purpose of rape was not considered to be intensified
The judgment of german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robbery crime by inaction of omission. Nevertheless, we can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is decision and the subsequent theory are trying to impose certain constraints on the scope of this formation. However, there is a doubt that the book judgment and theory sufficiently base that constraint. This judgment shows briefly the reasons for adopting the positive theory. However, as far as this issue is concerned, it can be said that the argument theor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rguments.
Meanwhile, in Japan it was suggested that constitution of beating omission and in the case like this case, the opinion which approves the formation of the crime of burglary was once claimed. However, at prese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ositively adopt such views, and the discussion is not very active. In such circumstances, judgment is shown as if it approved the formation of a burglary by inattentive assault in the recent high court precedent. Today, learning from German court cases and theories on the possibility of the robbery crime by assault of inaction seems to be beneficial in light of this situation in Japan.
In the German debate, whether the concept of assault included the result element was dividing whether the omission of assault was positive or negative. This seems to be valid for our country as well. It is common in Japan to regard omission as not doing the expected act . In cases like this case, if we are to expect acts, we will eliminate the state of resistance against rebellion. And you can grasp that you did not do this as omission.
Therefore, as a premise assuming omission her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rebound suppression pressure state. In addition, the opportunity to include inclusion in the assault of inactions of unrestricted pressure condition is considered to be result of this rebellion suppression state. It can be said that the assault of the omission which can be thought here is that I should not have tried to resolve (rebound against the property) pressure state .
The attitudes contrary to this obligation In order to be able to call violence in robber crimes, this obligation must be derived from the provision of robbery crime. In other words, it must contain the content that the provision of burglary charges should not cause a result of pressure resistance state. In this way, for the first time, it is understood that the robbery crime includes the result of pressure resistance state, it is possible for inclusion in the robbery of robbery crime the unresolved state of rebellion suppression stat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외국의 판례: 분석 및 검토
Ⅲ. 부작위 구성에 의한 강도죄 성립 가능성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의 법무역량 강화방안 연구
- 독일의 반려동물폐기법
-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적 개선에 관한 고찰
- 보험대리상 등의 권한에 대한 2014년 입법의 분석과 비평
- 노동위원회 신뢰제고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치과의료행위의 내용과 범위에 관한 소고
- 중국 특별행정구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법적 지위
- 이혼 시 퇴직 급여 분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체제전환국에서의 국가배상법 제정 동향과 향후 전망
- 노인 학대 예방 및 피해 구제를 위한 입법의 방향
-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행사의 효과
- 빈집대책조례의 의의와 쟁점
- 북한 사회복지의 법제적 고찰
- 유럽 기본권보호에 있어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견해
-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와 고령투자자 보호방안
- 소비자정책 추진체계의 법적 재구성
- 영국법상 아동의 법적 지위 인정에 관한 소고
- 식품안전기본법의 제문제
-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에 관한 권익 향상 방안
- 경매입찰방해죄와 담합행위의 형법적 규율
- 운석의 소유권 및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공법상 당사자소송 활용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북한 사회주의헌법의 인권 실효성에 관한 연구
- 폭행·협박 후 불법영득의사에 의한 재물취득과 강도죄 성립 여부
- 한국의 양도담보에 대한 논의가 중국의 양도담보 입법화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