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과의료행위의 내용과 범위에 관한 소고
이용수 17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 and Scope of Dental Medical Car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백경희(Baek Kyoung hee)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27卷 第2號, 293~3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upreme Court judgment decided on whether or not dentists are authorized to give Botox cosmetic treatments under their license. In the present case, a dentist had treated a patient for mid-forehead wrinkles. Even though the dentist had a valid medical license, the Botox treatment was outside the scope of permissible treatment.
However, the current medical law does not define what medical care without a license. Moreover, because there are areas that overlap each other by licensed medical practice areas as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creas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is study looks at the various classifications of medical care licenses and the various differences between the licenses. After analyzing the above decis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how to interpret the scope of medical care for dentists for the future.
목차
Ⅰ. 대상판결과 문제의 제기
Ⅱ. 무면허의료행위의 의의와 현행법상 규정의 검토
Ⅲ. 치과의료행위와 양방의료행위의 구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의 법무역량 강화방안 연구
- 독일의 반려동물폐기법
-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적 개선에 관한 고찰
- 보험대리상 등의 권한에 대한 2014년 입법의 분석과 비평
- 노동위원회 신뢰제고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치과의료행위의 내용과 범위에 관한 소고
- 중국 특별행정구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법적 지위
- 이혼 시 퇴직 급여 분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체제전환국에서의 국가배상법 제정 동향과 향후 전망
- 노인 학대 예방 및 피해 구제를 위한 입법의 방향
- 임차인의 지상물매수청구권 행사의 효과
- 빈집대책조례의 의의와 쟁점
- 북한 사회복지의 법제적 고찰
- 유럽 기본권보호에 있어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견해
- 금융투자상품 불완전판매와 고령투자자 보호방안
- 소비자정책 추진체계의 법적 재구성
- 영국법상 아동의 법적 지위 인정에 관한 소고
- 식품안전기본법의 제문제
-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에 관한 권익 향상 방안
- 경매입찰방해죄와 담합행위의 형법적 규율
- 운석의 소유권 및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공법상 당사자소송 활용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북한 사회주의헌법의 인권 실효성에 관한 연구
- 폭행·협박 후 불법영득의사에 의한 재물취득과 강도죄 성립 여부
- 한국의 양도담보에 대한 논의가 중국의 양도담보 입법화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