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수사상 생체정보 활용과 그에 따른 문제점의 검토
이용수 325
- 영문명
- A study of biometics on the criminal investig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정소영(Jung So young)
- 간행물 정보
- 『과학기술과 법』제7권 제2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new smartphone with iris scanner made headlines in August 2016. It shows that a new era has come. We live in a world where we prove our identity with our bio information. Bio information is also widely used on the criminal investigation these days. Biosignal is a signal from human can be continually measured and monitored. For example, pulse, breathing, electrocardiogram, heartbeat, blood pressure and so on. By monitoring biosignal, we can find out on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e. On the criminal investigation, a biosignal is used in polygraph examination, Ankle monitor and crime prediction using brain scans. Biometrics refers to metrics related to human characteristics. It is mainly used as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s, like Iris and face recognition. Biometrics has permanenc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So every person use a system should possess the trait, and at the same time the trait should be different for individuals. On the criminal investigation, a biometrics is used in facial recognition CCTV, gait analysis, hand geometry, DNA profiling, voiceprint analysis. Since biometric information can not be changed or discarded and newly created, it is impossible to reverse the situation once it is leaked, so handling biometric information should be more careful than other personal information. The present legal system is insufficient to protect biometric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laws before the age when biometric information is utilized in earnest. And I think that it is the beginning to ensure stronger rights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생체정보의 의의
Ⅲ. 범죄수사 분야의 생체신호 활용
Ⅳ. 범죄수사 분야의 생체인식정보 활용
Ⅴ. 생체인식정보의 오남용이 가지는 문제점
Ⅵ.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