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교사용 지도서와 교실영어자료의 코퍼스 분석을 통한 시공간 전치사 ‘at’, ‘on’, ‘in’의 의미 사용 특성 연구
이용수 373
- 영문명
- A corpus-based study on the uses of prepositions of time and place ‘at’, ‘on’, and ‘in’ in teachers guide to primary English textbook and classroom English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민덕기(Min Deok Gi) 김현진(Kim Hyun Ji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2권 4호, 211~2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uses of three prepositions of time and place at , on , and in in the texts from the primary English teachers guides and classroom English materials by constructing and analyzing the corpus from the tex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prepositional meanings was developed, each preposition from the corpu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 and their frequencie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from COCA.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ree prepositions showed relatively higher frequencies in their two to three primary meanings than in their other categories of meanings; each preposition was used in temporal meaning less than in spatial meaning; three prepositions occurred in relatively simple structural form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argued that the systematic semantic approach to prepositional meanings is advisable in understanding the uses of spatiotemporal prepositions. Along with the argument, the collocational approach was suggested for teaching and learning prepositions in primary English classrooms in the conclus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전치사 ‘at’, ‘on’, ‘in’의 의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 교수·학습에 대한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 영어 학습자들의 인식 비교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초등 영어 어휘 학습에서 지식 중심 학습과 지식·기능 통합 학습의 효과 연구
- 초등영어 교사용 지도서와 교실영어자료의 코퍼스 분석을 통한 시공간 전치사 ‘at’, ‘on’, ‘in’의 의미 사용 특성 연구
- 초등영어교실에서의 학습자의 상호작용능력 및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전략 연구
- 2009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영어 교과서의파닉스 지도 내용 및 방법 분석
- 패턴시 쓰기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Investigating the Balance of Writing Tasks in Sixth-Grade English Textbooks
- 효과적인 초등영어 어휘 학습 자료 및 지도법
- 초등학생의 영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Show and Tell 활용 방안 연구
- 2009 개정 3-4학년군 초등 영어교과서의 재구성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