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강승묵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5권 1호, 6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영상 중심의 사회적 소통 방식이자 결과인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적용 가능성을 하나의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커뮤 니케이션이 특정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커뮤니케이터의 내적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인식 체계를 연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현상과 상황마다 각기 다른 시각의 상호주관성이 개입될 수있음을 전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영상이 지향되는 방식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내부의 인식과 영상기 호를 통한 일상적인 경험세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범주 안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에 최소한의 정보적 공유나 정서적 공감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다는 점을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란 결국 영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해의 불확실성과 해석의 불완전 성을 해소하는 것이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영상커뮤 니케이션에서 영상으로 재현되는 연구대상의 현실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견되거나 발생된 현상 자체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quir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of phenomenology and semiotic phenomenological communication. Visual communication is one of the way of social communication and its result at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is paper also studied a research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in that each inter-subjectivity is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cause the principle method of communication use the perceptive system based on the inner-experience world of communicator when communication is made by structure of sign with specific form and meaning.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things. First of all, a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has to premise the perception how visual image points to the wa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condly, to grasp the point of meaning of specific visual sign based on the experience world through visual image, the process of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of researcher must be worked within the category of semiotic phenomenological communication. And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visual communication mediated between visual images is difficult to communicate if there are not the informational share and emotional consensus at least. Therefor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visual communication is to solve the uncertainty of understanding and the incompleteness of interpreting about the specific phenomenon which occur with the centering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paper has conducted a investigation of the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about the phenomenon itself discovered and arise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o inquiry about the object of research.
목차
1.문제제기
2.기호와 의미의 관계,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정의
3.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
4.기호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
5.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새로운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