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배혜령 이정화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5권 1호, 158~0쪽, 전체 -15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지역별 연기과 현황과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 및 무용전공 교수의 편성비율을 분석해 보고,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개발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기자를 위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의 지각능력(움직임의 범위) 및 다양한 연기를 표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움직임 동작의 기능을 습득하도록 한다. 둘째, 창의적 동작 연출 능력을 다양하게 구사하고 움직임에 대한 독창적인 경험을 얻도록 하며, 그러한 동작과 감정의 표현을 연결하는 구성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통해 연기자에게 필요한 심리적 내지 정신적 안정과 더불어 신체적 발달을 도모한다. 넷째, 연기자의 신체성(몸)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갖도록 한다. 다섯째, 특수한 상황의 연기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재능을 향상시킨다.
이처럼 다양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발전시키기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은 연기자에게 맞는 체계적인 교과목 내용으로 구성되 어야 한다. 둘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전공하는 교수를 각 대학에서는 임용해야 한다. 셋째, 연기자들을 위한 맞춤형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수강신청에 있어서 선호도 인지를 상승시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넷째,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육자들은 연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움직임/신체활동 교육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교수역량을 강화하 도록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performance departm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2010, considering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the rate of professors who majored in dance, and the contents of their classes, and to present methods for developing and reinvigorating various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by examining the vital points regarding the necessity of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The roles played by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for performers are as follows. First, they help performers to acquire basic movement abilities, which enable them to express physical perception (the scope of movement) and diverse performances. Second, they help performers to diversely exercise the direction ability for creative motions, acquire experience in developing motion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connect those motions to the expression of emotion. Third, they seek to promote phys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or mental stability necessary for performers. Fourth, they help performers to change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ir bodies. Fifth, they help performers to improve their talents, in order to faithfully carry out the performance for special situations.
The methods used to develop such diverse movement/physical activity courses are as follows. First, they must consist of systematic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that are suitable for performers. Second, they should secure professors who can deal with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Third, they should motivatestudents to further study those subjects by applying customized professor-learning strategies for performers, and by reinvigorating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by enhancing the preference awareness of these in class registration. Fourth, they should make professors in charge of movement/physical activity subjects keenly aware of the education goals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while increasing their teaching ability.
목차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 방법
3.국내 대학 연기과 개설 현황
4.연기과 대학에서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의 역할
5.연기과 대학에서의 움직임/신체활동 교과목 발전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