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intings in Cinema and Death: Aleksandr Sokurov’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이지연(Lee, Ji Yeon)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3호, 67~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 of cinema and painting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Russia’s most distinguished living film-maker Aleksandr Sokurov’s masterpiece . In the course of numerous interviews he exalted the bi-dimensionality and the flatness of the cinematic image, connecting it not only to the tradition of European classical paintings, but also the Byzantium religious icon. But if we consider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nematography, the flatness of image indicates just a regression of the genre. Then for what purpose did Sokurov adopt the bi-dimensionality of cinematic image? Is there any special esthetic strategy? This article analyzes the functions of pictures inserted into the filmic space, or the cinematic images imitating paintings. In time is suspended by virtue of cinematic images through its constant painterly references, which creates a sense of timelessness and endows the film a special matiere.
The article consists of 3 parts: in the first part would be discussed general film theory on the relation of cinema and paintings; the second part is dedicated to the scrupulous analysis of Sokurov’s ; in the third part will be showed the existential meaning of memory inscribed on the pictorial image, which comes closer to the contemplative, absorbing regime of the icon.
목차
Ⅰ. 영화와 회화 예술
Ⅱ. 죽음을 유예하는 회화
Ⅲ. 폐허, 시간의 박물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속의 회화와 죽음: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의 <어머니와 아들>을 중심으로
- Современные учебники РКИ: опыт анализа М.А. Мартынова* 1) , Е.Ю. Николенко
-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ая морфология русского и казахского языков
- Тэнгрианство в духовной культуре тюрко-монгольских народов Внутренней Азии и Саяно-Алтая
- 러시아어 담화직시
- Прагма-семантический аспект директивных текстов различной стилев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 투바 영웅담에 나타난 서사구조와 갈등양상: <하인디린마이 바가이-오올>을 중심으로
- Языковая личность на фоне инноваций XXI века
- Приоритеты в преподавании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и культуры речи в техническом вузе (Из опыта работы в МИИГАиК)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디지털 트윈 시대의‘장소성’과 문화영토의 존재론 - 실재-가상 간 경계의 해체와 문화적 주체 형성
- 미드저니(Midjourney)가 이끄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지형 변화 -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의 K-콘텐츠 체험이 서울의 도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