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부의 은행 지배구조로서의 역할 -은행의 수익성과 대손충당금적립을 중심으로-

이용수  127

영문명
The Role of Government in Bank Governance -Bank Profit Performance and Loan Loss Provision-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이은서(Lee, Eunsuh)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9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정부의 은행 지배구조로서의 역할을 은행의 수익성과 대손충당금적립을 중심으로 실증분석 하고 있다. 성장이론(development view)에 의하면,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은행의 수익 성은 증가하지만, 정치이론(political view)과 대리인이론(agency view)에 의하면,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 율이 증가할수록 은행의 수익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해일치가설(alignment effect)에 따르면,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과 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액은 음(-)의 관계를 가지나, 안주가설(entrenchment effect)에 따르면,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과 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액은 양(+)의 관계를 지닐 것으로 본다. 일반은행을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03년에 해당하는 표본기간 동안 구성된 최종표본은 78개의 은행 -연 표본수로 구성된다. 실증분석결과,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은행의 수익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공공성을 추구하는 정부가 은행의 수익성을 증가시킨다고 보는 성장이론을 지지하는 것이 다. 또한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과 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액은 음(-)의 관계를 보인다. 이는 정부의 은행 소유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은행의 이익관리가 감소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일치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논문은 그 동안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부’와 ‘은행’의 특수성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은행에 대한 소유규제에 해당하는 은행 주식보유한도 규정을 적용받지 않고 공적규제와 동시에 소유 규제를 실행한다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은행은 영리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경영목적으로 추구한 다는 점에서 일반영리기업과는 차이가 있다. 경제성장을 목표로 한 은행 소유지배 유인을 지닌 정부가 은행이 공공성과 영리성을 모두 추구하는 것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은행의 수익성을 증대시키고 주주로서의 정부의 이해(interest)와 은행의 이해(interest)를 일치시키는 은행의 재무보고를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 the role of government in bank governance focusing on the bank profit performance and loan loss provision. The development (political) view suggests that higher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is positive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bank profit performance. The alignment (entrenchment) effect predicts that higher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is negative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an loss provision. The sample consists of 78 bank-year observations during the 1998-2003 period. The empirical evidence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and bank profitability measured as return on assets supporting the development view. Consistent with the alignment effect,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arnings management of banks measured as loan loss provision. This paper focuses on government and bank that attract less attention from accounting academics.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of banks, the government plays a positive role that it acquires the ownership of banks in order to lead financial development for economic growth and monitors whether government-owned banks contribute to bank profitability. Additionally, the government aligns the interests of owners with those of banks and declines agency costs, thereby reducing the opportunistic financial reporting of bank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가설
Ⅳ. 표본 및 모형
Ⅴ. 실증분석결과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서(Lee, Eunsuh). (2012).정부의 은행 지배구조로서의 역할 -은행의 수익성과 대손충당금적립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9 (1), 1-23

MLA

이은서(Lee, Eunsuh). "정부의 은행 지배구조로서의 역할 -은행의 수익성과 대손충당금적립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9.1(2012):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