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항과 자기발전을 통한 여성의 주체성 찾기 - 토마스 하디의『캐스터브리지의 읍장』을 중심으로 -

이용수  47

영문명
The study of female subjectivity through women's resistance and self-development in The Mayor of Casterbridge
발행기관
영미어문학회
저자명
최미리(Choi Mi Lee)
간행물 정보
『영미어문학연구』영미어문학연구 제29집 1호, 125~1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general belief was that the central and most desirable characteristic of female characters has been their passivity, an idea which translated to "angel in the house." However, the nineteenth-century writer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in changing established views of women and in giving them a respected role in literature was Thomas Hardy. Although the book is called The Mayor of Caterbridge and Hardy named the book for Henchard, the book really centers on the three women - Susan, Lucetta, and Elizabeth-Jane. Women in The Mayor of Casterbridge suffer under the rul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but do not submit this ideology, rather reveal a tacit or aggressive resistance against it and in particular Elizabeth Jane tries to educate herself to obtain the female subjectivity by concentrating on the future rather than wallowing in the past, and by conducting herself with self-development no matter where her fortunes take her. She is the first to pursue knowledge fervently, seeking always to improve herself. Thus, The Mayor of Casterbridge is not the tragedy of a selfish man but the search of female subjectivity through women's resistance and self-development.

목차

Abstract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리(Choi Mi Lee). (2013).저항과 자기발전을 통한 여성의 주체성 찾기 - 토마스 하디의『캐스터브리지의 읍장』을 중심으로 -. 영미어문학연구, 29 (1), 125-146

MLA

최미리(Choi Mi Lee). "저항과 자기발전을 통한 여성의 주체성 찾기 - 토마스 하디의『캐스터브리지의 읍장』을 중심으로 -." 영미어문학연구, 29.1(2013): 12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