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강사를 활용한 자유학기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기초 연구
이용수 93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ers’Perception and Need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ist Teachers in Free Learning Semester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아(Sun Ah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2號,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유학기제는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현 정부 교육개혁의 핵심 국정과제로서 학교 안에서 행복 교육을 구현하고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 동안에 문화예술교육이 중심이 될 때 학교를 역동적으로 변화시키고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교 안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정책적 배경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부천 지역 교사와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집단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교문화예술교육 및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자유학기제를 위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네트워크 중심 그리고 역량 강화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라는 새로운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학교 현장과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상호 이해에 기반을 둠으로써 예술교육에의 기회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Free Learning Semester is the government’s primary policy that aims at reforming school curriculum and learning in general. It has been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creativity and happiness in schools by supporting students’ visions and potential abilities.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premise that Free Learning Semester can b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schools as a dynamic learning site and to improve students’ schooling experiences by plac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center of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background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and the meaning of in-school arts and culture educa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transformative approach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 schooling.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ist teachers in Free Learning Semester by incorporat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of runn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artist teach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인식도 조사
Ⅳ. 자유학기제 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 운영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워드 설계모형을 적용한 감상 단원 개발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4학년군 ‘작품과 미술가’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
- 참여형 창의예술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대학생 단기 해외자원활동 경험의 의미 -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체험 영역의 ‘연결’에 관한 논의
- 예술강사를 활용한 자유학기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기초 연구
- 교육적 질문으로써 자문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를 통한 미술 교육적 질문 소고
- 국내 박물관에서의 모바일 러닝 현황 분석연구
- 분석에 반대한다 - 미술교육의 지성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 -
- 3D 홀로그램(Hologram) 개발을 통해 본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
- 창의 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과정 수업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