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세계 이해를 위한 플레이어 캐릭터의 역할 분류
이용수 88
- 영문명
- Player Character's Role Classification for Understanding Game World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현혜정(Hye jung Hyun) 고일주(Il ju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1호, 151~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게임세계는 이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게임세계는 또 다른 사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 사회에 적응하고 바람직하게 삶을 영위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실세계의 사회인으로서 역할을 대변하는 직업군을 게임세계에서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게임세계에 사회생활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또한 게임 영역 중에서 플레이어의 역할을 잘 설명하고 있는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을 토대로 플레이어 캐릭터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역할 분류 과정은 수집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유사도와 플레이어의 지각 구조를 이해 할 수 있는 심리적 거리 측정 과정을 거쳐 다차원 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체계화한다. 분석된 결과인 플레이어 중심의 캐릭터 분류는 게임세계를 다른 소통의 공간으로서 이해하고자 할 때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A game world has become a space where people nowadays lead their daily lives. Therefore, the virtual world has played a role as another society. There should be preliminary research done on the directions of the virtual world, in which one could adapt to and lead our lives. The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ole of a social member in reality, namely, a vocational group, in the virtual world and find out factors for embodying its functions as a space for social living. This study was aimed to classify the roles of characters within the representative online games of the virtual world, according to the perceptual structure of the players, to measure similarities and psychological distances, and to make systematic classification, by utiliz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roles of game characters would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e game world as another place of communication.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프로세스
Ⅲ. 측정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모바일 앱 및 게임 제안서
- 스마트폰 게임을 위한 효과적인 체감형 조작 방법 연구
- 실시간 온라인 게임용 다계층 망에서 신속한 복구 메커니즘 제어 기법
- 게임 오브젝트 Polygon Soup 모델의 근사화 및 보간을 위한 고속 병렬 GPU 적분형 MLS 연산
- 동작 기반의 기능성게임: "Falling" 개발사례
- Face Mesh Compression Based on S-Octree for Game Characters
- 게임 개발을 위한 사건의 인과 관계에 기반한 상황 표현
- 암각화를 응용한 디지털콘텐츠로의 활용 효과에 대한 연구
- 조형요소에 기반한 게임 배경 패턴 그래픽의 명세와 검색
- 게임세계 이해를 위한 플레이어 캐릭터의 역할 분류
- 다면시장에서의 HTML5 기술을 통한 캐주얼 게임 제작 방식에 관한 연구
- 퍼즐 게임을 위한 폴리오미노 타일 생성 방법
- 색 감성 이론을 이용한 리듬게임 디자인
- 암각화를 응용한 3D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상지 운동 게임
- 게임 개발에서 복합 행동에 기반한 에이전트의 행동 설계 및 구현
- 게임 캐릭터에 대한 특징 기반의 연필 렌더링
- 게임을 적용한 미디어 파사드 관련 사례 연구
- SURF 알고리즘을 이용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및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