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시간 온라인 게임용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생존성
이용수 0
- 영문명
- Survivability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of Real-time online Game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조양현(Yang Hyun Cho) 오영환(Young Hwan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4권 3호, 93~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고속 안터넷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실시간 온라인 네트워크 게임을 지원하면서 온라인 게임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터넷 망에서의 온라인 트래픽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광기반의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하나의 네트워크 링크 및 노드의 장애는 심각한 데이터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cN 망에서의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효율적인 복구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새로운 알고리즘인 NFFR을 제안하여 기존의 FRR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복구 시간에서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링크 이용율 및 초기 셋업 시간에서는 별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advances of High-speed Internet infrastructure and the support of Real-Time online network games, the industry of online game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 online traffic in the Internet network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A network link or node failure in optical-based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s) networks to support this services may result in the loss of a large number of data. To remedy this problem, an efficient restoration algorithm for network failure in the BcN networks is necessary. We propose a new algorithm(NFRR) for restoration scheme in the BcN networks and compare it with previous schemes(FRR).
Simulation result show that restoration time in the proposed scheme decreases compared with that in restoration scheme although link utilization ratio and initial setup time is same compared with previous schm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GMPLS망에서의 장애 복구 및 시간
Ⅲ. 제안기법
Ⅳ. 성능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게임 캐릭터를 위한 삼각 메쉬에 대한 색연필 렌더링
- 미륵사지 복원을 통한 3차원 Computer Graphics 표현기법과 교육학적 응용
- 원형지수 기반 형태 분석을 이용한 이미지 콘텐츠의 감성 분류 연구
- 실시간 온라인 게임용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생존성
- 인식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체감형 태보 게임
- 게임 환경에서 이기종 장치 간의 상호 연동성 지원을 위한 사이버 물리 시스템 기반 미들웨어 구조 설계 및 개발
- Procedural Reproduction of Rule-Based Painting
- Development of Games Based on the Scalable Tiled Display Framework
- 자폐성 장애 아동을 위한 기능성 게임 콘텐츠 제안
- Haar 분류방법을 이용한 헤드 트래킹 기반 단안 3차원 디스플레이
-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몰입요인에 관한 연구
- CUDA를 이용한 실시간 감성 동영상 추상화 구현
- 기능성 게임의 핍진성과 환상성 연구
- 초등학생들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연구
- 360도 구 디스플레이 기반 게임 인터페이스의 활용성
- 다시점 디스플레이용 게임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영상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연구
- 실사영화와 3D 애니메이션에 대한 3D 입체영상 활용 사례조사를 통한 전망
- 영어 학습을 위한 교육용 기능성 게임 개발
- 문화재학습을 위한 교육용 게임 설계
- RFID와 음성인식을 이용한 유아용 디지털 보드게임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