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ilosophische Hermeneutik und Ontologische Hermeneutik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신승환(Shin Syng hwan)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0호, 169~20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철학은 그 시작에서부터 이해의 학문이며, 해석의 과정에 의해 규정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철학의 자기규정을 해석학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존재 해석학이란 이름으로 해명하고 있다. 존재 해석학이란 인간의 근본 조건인 존재론적 상황과 존재론적 의미 근거에 따라 이루어지는 해석학을 의미한다. 존재 해석학으로서의 철학은 근본적으로 형이상학적이며, 신학을 비롯한 모든 학문의 선험적 근거가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철학의 특성을 존재론적이며 역사 철학적인 관점애서 해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철학적 해석학의 역사를 간략히 설명한다. 철학적 해석학이 근대에 이르러 전개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해석학을 그 본질에서부터 이해한다면, 그것은 인식론을 넘어 이해의 학으로 발전하는 철학사의 발전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기에 근대 철학의 인식론적 지평에 놓인 해석학은 해석과 이해의 본질적 특성을 올바르게 드러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존재 해석학의 취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근대 형이상학에 대한 철학적 교정으로서의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해명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하이데거의 기초 존재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과 바티모가 행한 하이데거 해석학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오늘날 존재 해석학은 그 내용에 있어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학에 의존해 있다. 따라서 이어지는 논의는 이에 대한 해명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에 대한 설명으로 전개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존재론적 해석학이 지니는 초월론적 특성을 논의한다. 그것은, 이 해석학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초월성에 대한 존재론적 결단이 근거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정의되는 존재 해석학은 철학의 종말이 거론되는 현대에 그런 상황을 극복할 어떤 사유, 즉 “다가올 사유”로 제시될 젓이다. 결론 부분은 이러한 관점에 대한 해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문 초록
Vom Anfang an ist die Philosophie die Wissenschaft des Verstehens und wird von dem Prozeβ der Auslegung definiert. Nun versteht der Artikel die Selbstdefinition der Philosophie auslegend und gibt ihr einen Namen die ontologisehe Henneneutik. Die ontologisehe Henneneutik versteht sieh namlich, daβ sie von der Grundbedingung des Mensehen und der Sinnbegrundung her begrundet wird, die grundsatzlich ontologisch ist. Als die ontologische Henneneutik ist die Philosophie vom Grund her metaphysisch und wird der transzendentale Grund auf allen Wissenschaften z.B. die Theologie u.a. Der Artikel erlautert solchen Charakter im Bezug auf den ontologisch-geschichtsphilosophischen Sinne, Fur den Gesichtpunkt wird die Gesehichte d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erortert Es ist gewiβ, daβ die philosophische Hermeneutik im Zeitalter der Moderne sich entwiekelt wird. Vom Grund her zu bestimmen, ist die Hermeneutik mit der philosophischen Entwicklung von der Erkenntnistheorie zur Verstehenswisschenschaft verbunden. Deswegen ist es benotigt die Erlauterung dieser Hermeneutik als die philosophische Korrektur der Moderne Metaphysik, um ihres Grundmotiv anzunehmen. Von daher ist die ontologische Bedeutung zu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und hermeneutische Phanomenologie, Gadamers philosophische Henneneutik, G.Vattimos Auslegung darauf erklart werden, Im Hinblick darauf handelt es weiter urn Heideggers Henneneutik im Buch Sein und Zeit, weil die heutige ontologische Hermeneutik darauf begrundet ist.
Zum Schluβ handelt es sich um den transzendente Charakter der ontologischen Hermeneutik. Ihre Wirkung bezieht sich grundsatzlich auf den ontologischen Entschluβ des Daseins. Die so erorterte Hernemeutik als das kunftige Denken in der Gegenwart, in der das Ende der Philosophie als eine brennende Angelegenheit aufgenommen ist. Am Ende handelt sich es um die Darstellung.
목차
1. 머리말
2. 존재 해석학의 철학적 맥락
3. 철학적 해석학의 역사
4. 존재 해석학의 의미
5. 존재 해석학의 초월적 특성
6. 존재 해석학과 현재
7. 맺음말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