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과 매장특성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512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Fast Food Restaurants Product and Stores to Affect Attractiveness : Comparison of One-Person Households and Many Persons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노용환(Roh Yong hwan) 김은경(Kim Eun kyoung) 조춘한(Cho Chun ha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4권 제1호, 17~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우리 사회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외식 패턴 중의 하나인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 대해 주목하였다. 장차 1인 가구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구 형태가 될 수도 있다는 가정에 따라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 방문한 1인 가구 소비자가 패스트푸드 제품특성과 매장특성 중 어떤 점에 매력을 느끼는지에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다.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 방문한 1인 가구 227명과 다인 가구 195명의 표본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력과 관련하여 제품 특성과 매장특성은 지속가능한 매력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상황적 매력에 해당하는 제품의 특성에서 제품의 건강성과 매장 특성 중 매장운영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차이에서 1인 가구의 경우, 제품특성이 지속가능한 매력을 느끼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매장 특성 중에서는 매장 공간성만 상황적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인 가구는 제품특성 중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 건강성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한 매력과 관련하여 매장 외향성이, 상황적 매력과 관련해서는 매장운영성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종합적으로 제품특성과 매장특성은 전반적인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n relation to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single-person-household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st food restaurant, which is one of the eating out patterns of single-person-households. Considering the fact that single-person-households will become a typical type of household in Korea, we studied whether single-person-household consumers are attrac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sold at the fast food restaurant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taurant itself.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we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227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and 195multi-person household consumers who visited fast food restaurant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irst,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nd the restaurant had an impact on sustainable attraction, but in regards to situational attraction, healthiness of the produc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restaurant management (restaurant characteristics) did not. Second, when comparing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for single-person-households, product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stainable attraction, but out of all restaurant characteristics, only the spacial character of the restaurant had an influence on situational attraction. As for multi-person households, consumers were not attracted to the healthiness of the product. In addition, extroversion of the restaurant and restaurant management did not have an effect on sustainable and situational attraction, respectively. Overall, product and restaurant characteristics had an influence on general attraction.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비자시민성이 기업공익활동에 대한 태도와 소비자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PR 방법론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전환 프레임워크
-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과 매장특성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국내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대외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 :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 온라인 리뷰의 수와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브랜드 스토리 광고 유형이 기업이미지 형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는 상업적 정보원천을 신뢰하지 않는가? : 구매 채널별 상업적 정보원천 활용도 차이를 중심으로
- 비선형 가격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고찰
- 자신과 타인의 가격과 품질 비교가 파워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가격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 상품으로서 교통, 지속가능성을 얘기하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A Perceptions of Tourism & Hospitality Students Toward a Hospitable Service Mindse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Spin-off Decision and Profitability: Evidence from Indonesia Islamic Banking Industry
- Succession Planning and Sustainability in Private Organizations: A Mediating Role of Talent Management in Delta State Nigeri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