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리뷰의 수와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이용수 1,113
- 영문명
- The Effects of Online Review Volume and Direction on Purchasing Intention :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Typ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윤연(Yin Yuan) 최지호(Ji ho Choi)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4권 제1호, 73~7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그러한 영향이 제품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실증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온라인 채널은 낮은 정보탐색비용과 높은 지각된 위험으로 인해 경험재에 비해 탐색재의 구매가능성이 높았으나 온라인 리뷰의 확산 및 관련 정보의 의존도 증가로 인해 경험재 또한 온라인 채널에서의 구매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리뷰 정보를 빈도와 방향성으로 구분한 후, 리뷰 정보와 제품 유형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설계는 2 제품유형(탐색재 vs. 경험재)×2 온라인 리뷰 빈도(고 vs.저)×2 온라인 리뷰 방향성(긍정적 vs. 부정적) 집단 간 설계이며, 208명 실험 참가자가 8개의 실험 상황에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가설검증은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유형과 방향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리뷰 빈도는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제품 유형의 주효과는 탐색재의 경우보다 경험재의 경우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유형과 온라인 리뷰 빈도 간의 상호작용효과 그리고 제품 유형과 온라인 리뷰 방향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온라인 리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제품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d howonline reviewcontent such as message volume and direction influence brand purchasing intention. In addition, the authors also investigated how product type moderate this effect. Experiment is 2 message volume(high group vs. low group) × 2 message direction(positive group vs. negative group) × 2 product type(search goods vs. experience goods) between-subject design.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8 kind experiment situations. Dependent variable is purchasing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8 respondents and ANOVA is used in order to test hypothesis.
Results showed that main effect of product type and message direction existed but message volume do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As hypothesis predicted,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not only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type andmessage volume but also between product type and message direction exist. An exploratory findings showed that product type played the moderating role i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volume and direction. Adiscussion of the key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were provid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가설 개발
Ⅲ. 실험
Ⅳ. 실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비자시민성이 기업공익활동에 대한 태도와 소비자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PR 방법론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전환 프레임워크
-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과 매장특성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국내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대외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 :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 온라인 리뷰의 수와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브랜드 스토리 광고 유형이 기업이미지 형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는 상업적 정보원천을 신뢰하지 않는가? : 구매 채널별 상업적 정보원천 활용도 차이를 중심으로
- 비선형 가격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고찰
- 자신과 타인의 가격과 품질 비교가 파워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가격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 상품으로서 교통, 지속가능성을 얘기하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A Perceptions of Tourism & Hospitality Students Toward a Hospitable Service Mindse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Spin-off Decision and Profitability: Evidence from Indonesia Islamic Banking Industry
- Succession Planning and Sustainability in Private Organizations: A Mediating Role of Talent Management in Delta State Nigeri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