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운론적 표상들의 추상성에 관하여: 러시아어 음소 shch를 중심으로
이용수 52
- 영문명
- On the Abstractness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he Special Case of Russian šč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추석훈(Suk hoon Choo)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40권 1호, 65~8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러시아어 음소 중 하나인 /sh´:/는 러시아어 음소체계에서 독특한 음소로 간주된다. /sh´:/는 다른 러시아어 음소와 비교할 때 소리의 길이에서 현저하게 길 뿐만 아니라, 단음소인 /sh/의 단순한 결합의 결과도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는 /sh´:/가 러시아어 음소체계에서 하나의 음소로 분리되어 간주될 필요가 없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통합론적(syntagmatic) 논리를 유지하면서도, 계열론적(paradigmatics) 영역에서 논리의 파괴 없이 언어학적 경제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음소 /sh´:/의 형태음소론적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3장에서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sh´:/의 음소적 지위를 살펴보면서 결론으로 이어진다.
영문 초록
A phoneme /s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unusual phonemes in Russian phoneme inventory. Compared to other Russian phonemes, it is significantly long in length, and it is not the result of doubling of short phoneme /š/.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sh´:/ does not need to be counted as a separate phoneme in Russian phoneme inventory.
Certainly, the surface phone [š´:] does exist, but instead of occurring as a separate phoneme, it should instead be deri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veral syntagmatic factors. Not only can we achieve a significant economy in
the area of paradigmatics, but we can do so without any complication of the syntagmatics whatsoever. In chapter 2, I try to analyze /sh´:/ in contemporary standard Russian. In chapter 3, I suggest different approaches to analysis of the phonemic status of /sh´:/ in contemporary standard Russian, then conclusion is follow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shch의 분석
3. 현대 표준 러시아어에서 shch의 음소적 지위(status)
4.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운론적 표상들의 추상성에 관하여: 러시아어 음소 shch를 중심으로
- 도이나슈(Ştefan Augustin Doinaş) 문학의 상징성
- 예카테리나 2세의 ‘그리스 프로젝트’
- 불가리아어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 표현 기제와 언어학적 특성 연구
- 페타르 크레쉬미르 4세 업적과 역사적 함의: 종교 정책과 영토 확장을 중심으로
- 체코어 부정사구의 유형과 주어 통제 PRO의 설정
- 한국어 문장 부호법과 러시아어 구두법 비교 연구: 2015 「한글 맞춤법 일부 개정안」을 중심으로
- 문학작품 번역에 있어서 메타번역의 가능성 연구: 헝가리 문학의 『에지뻬르쩨쉬 단편집 (Egyperces Novellák)』을 중심으로
- 루마니아의 발전적 사회통합에 있어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적 소외문제: 체제전환 이후, 현재 루마니아 인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 부작용 실례를 중심으로
- 폴란드 체제 전환과 과거사 청산 연구
- 한국의 동유럽학: 평가와 전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