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간관리, 열의, 행복간 구조적 관계
이용수 654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ime management, Eengagement, and Happines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최지혜(Choi, Jihye)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8輯,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4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시간관리와 열의 및 행복간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이를 위해 대 학생 473 명 ( 남 :256 명 , 여 :217 명 )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시간관리와 열의, 행복간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 경쟁모형 비교를 통해 최적의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 모형 1은 시간관리가 열의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행복에 직, 간접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다 . 모형 2는 시간관리가 열의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 행복감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다 . 경쟁모형의 비교 결과 , 모형 1 이 최종 모형으로 선정되었는데 , 시간관리는 열의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 대학생의 행복에 직,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학습자가 학습 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의 열의도 높고, 행복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time management, engagement, and happiness. Participants were 473 undergraduate students. The present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variables and two models were examined.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esent data best fit the model 1 in which time management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happiness and mediated by engagement( χ ²(17)=32.688, TLI=.972CFI=.983 RMSEA=.04). The results indicate that time management affect happiness directly. And also time management affect happiness indirectly by mediation of engagement. In clos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율형 사립고에 대한 보수/진보언론간 정책 내러티브의 차이점 분석
- 청소년의 역기능적 정서 및 비행행동 변화와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조망 효과 연구
- 교원능력개발평가 자유기술식 응답을 통한 동료교원, 학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분석
- 학교 밖 청소년의 중학교 학력 취득 기회 제공 사례 연구:
- 체험중심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 미치는 효과
- 인출연습이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근대 ‘학생’ 개념의 수용과 변천에 관한 고찰
- 초ㆍ중등 특수학급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탐색
- 핵심역량 관점에 기반한 뎃치봉공의 평생직업교육적 의의
-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 창의ㆍ인성교육 강좌가 사범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대입제도 정책문제 정의의 타당성 분석
- 시간관리, 열의, 행복간 구조적 관계
-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 건전성 지표를 활용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