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방암 절선조사 시 종속조사면 병합방법의 불균등한 선량분포 확인
이용수 25
- 영문명
- Verification of Non-Uniform Dose Distribution in Field-In-Field Technique for Breast Tangential Irradiation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병문(Byung-Moon Park) 배용기(Yong-Ki Bae) 강민영(Min-Young Kang) 방동완(Dong-Wan Bang) 김연래(Yon-Lae Kim) 이정우(Jeong-Woo Lee)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3호, 277~28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의 절선조사 시 종속조사면 병합(FIF) 치료방법을 2차원 이온전리함을 이용하여 불균등한 선량분포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실험을 위해 2차원 이온전리함 배열(MatriXX, Wellhofer Dosimetrie, Germany)와 치료계획장치(Eclipse, ver 6.5, Varian, Palo Alto, USA)가 사용되었다. 불균등한 선량분포 확인을 위해 FIF 방법으로 치료계획 한 20명의 환자를 선택하여 각각 90 cGy를 처방하여 하이브리드 계획을 수행하였으며, 측정값과 비교를 위해 동일한 기하학적 조건에서 MatriXX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상용화된 분석 소프트웨어(OmniPro IMRT, ver, 1.4, Wellhofer, Dosimetrie,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로 기준점에 선량처방 시 계산값과 측정값이 평균 1.6% 차이를 보였고, 선형프로파일 (Line-Profile)을 통해 분석한 결과 종단면에서는 1.3-5.5%(평균 : 2.4%), 횡단면에서는 0.9-3.9%(평균 :
2.5%)로 변동을 보였다. 감마인덱스 히스토그람(기준 : 3 mm, 3%)로 분석한 결과 90.23-99.69%(평균 :95.11%, 표준편차 : 2.81) 범위를 나타냈다(유효범위 ; γ-index ≥ 1). 본 실험에서는 MatriXX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치료계획 선량과 측정값이 오차범위 이내로 일치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종양치료에 있어 FIF방법의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to verify non-uniform dose distribution in Field-In-Field (FIF) technique using two-di-mensional ionization chamber (MatriXX, Wellhofer Dosimetrie, Germany) for breast tangential irradiation. The MatriXX and an inverse planning system (Eclipse, ver 6.5, Varian, Palo Alto, USA) were used. Hybrid plans were made from the original twenty patients plans. To verify the non-uniform dose distribution in FIF technique, each portal prescribed doses (90 cGy) was delivered to the MatriXX. The measured doses on the MatriXX were compared to the planned doses. The quantitative analyses were done with a com-mercial analyzing tool (OmniPro IMRT, ver. 1.4, Wellhofer Dosimetrie, Germany). The delivered doses at the normalization points were different to average 1.6%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In analysis of line profil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1.3-5.5% (Avg: 2.4%), 0.9-3.9% (Avg: 2.5%) i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lanes respectively. For the gamma index (criteria: 3 mm, 3%) analyses, there were shown that 90.23-99.69% (avg: 95.11%, std: 2.81) for acceptable range (γ -index ≥ 1) through the twenty patients cases. In conclusion, through our study, we have confirmed the availability of the FIF technique by comparing the calculated with the measured using MatriXX. In the future, various clinical applications of the FIF techniques would be good trials for better treatment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방암 절선조사 시 종속조사면 병합방법의 불균등한 선량분포 확인
- 전자선치료 시 조사부위 차폐물 형태에 따른 선량변화 연구
- 다층박막 거울을 이용한 단색 엑스선 획득
- 혈청 전립선특이항원과 경직장초음파로 측정된 전립선 용적과의 상관관계
- PBL/S-PBL 패키지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
- X-선촬영 조사 조건하에서 다결정 요오드화수은 박막검출기의 신호특성 분석
- 192 Ir를 사용한 자궁경부암 치료시 주변 장기 및 근접한 사람의 선량 평가
- CT검사건수 및 CT검사에 의한 집단 실효선량의 추정
- 표준영상의학검사를 대상으로 한 CR과 DR에서의 환자선량평가
- 알리인 투여 후 혈소판의 방사선 방어기전 연구
- 관상동맥조영술과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에서 환자 선량과 암 발생 생애귀속위험 평가
- 신소재를 사용한 인체조직모사물질의 합성과 초음파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동(air cavity)의 존재 시 실험적 선량분포와 치료계획상의 선량분포 비교
- 갑상선암의 고용량 131 I 치료 시 입원기간의 최적화방안 연구
- MRI와 MRA를 이용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뇌혈관별 분포에 대한 연구
- 방사선(학)과 재학생의 임상적응 향상을 위한 개방형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