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방관의 여가활동이 PTSD 완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403
- 영문명
- An Influence Factor Analysi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Firefighters in Alleviating PTSD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in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방관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현장활동을 할 때 동료의 죽음을 목격하기도 하고, 자신의 신체가 손상 받는 위험한 환경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본 연구는 소방관의 여가활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하고,여가와 외상후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분석 틀을 구성 한 후 소방관의 인식을 통해 여가활동이 외상후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표준화된 회귀계수(Beta)를 비교해 볼 때 신체적 여가가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이며, 그 다음으로는 휴식적 여가, 오락적 여가, 지적 여가 순으로 소방관의 PTSD완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적 여가는 유의도 0.05보다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irefighters witness the death of their colleagues relatively more often than other occupations, and tend to be exposed frequently to life-threatening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build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leisure activities and post-traumatic stress among firefighters, construct an analytic framework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n analyze the firefighter's awareness survey data to find out the influence factors as to leisure activites among firefighters in allevia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 findings based on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suggest physical leisure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lleviating PTSD, followed by relaxational leisure, recreational leisure, and intelligent leisure.
However, psychological leisure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의 설계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불취약성지도 작성을 위한 지표 선정 및 지도화 기법 개발
- 저소득 독거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재난경험과 재난인식 및 재난준비도
- 사회복지시설의 클라이언트 폭력
-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에 대한 탐색적 분석
- 췌장암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 소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산불 잠재위험성 비교
- 메르스 확산 초기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보도된 메르스 예방식품 기사의 내용 분석 및 질 평가
- 민간경호업체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개선요인
- 심정지 상황에 따른 일반인의 언어적 표현과 심정지 인지의 의사결정 영향요인
- 초․중․고등학생의 목격자 심폐소생술 수행 의도와 관련된 요인
- 사회자본이 노인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군의 평화유지활동(PKO)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불평등의 다차원성 분석 및 정책적 함의
- 소방관의 여가활동이 PTSD 완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농업 기후변화 적응성 구축을 위한 사업 우선순위분석
- 미용성형수술사고 환자의 안전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