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에 관한 고찰
이용수 2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lti-sided Conflict Structur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주승현(Joo Seung hyeo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반도 분단의 다양하고도 다면적인 갈등구조에 주목하여 분단극복과 통일전환을 위해 여러 가지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 분단의 성격들을 보다 다 인과적이고 동태적인 유형으로 새로이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우리 분단 안에 내재된 중층성은 지리적·정치적(경제적·지역적)·민족적(심리) 분단을 의미하며 다양한 분단이 중첩적으로 누적된 적대적이고도 이질적인 인과관계는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분단을 더욱 강화시켜 왔다. 중층성과 복합성이 분단의 핵심요인이라면 그 매개변수로 볼 수 있는 이중성과 다중성은 분단과 남북관계의 연계고리로 기능해 왔다. 뿐만 아니라 남북한은 분단극복과 통일지향을 위한 특수성에 합의를 했지만 보다 명백한 이해와 출구전략에 대한 교통정리가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의 규명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70여년의 잔인한 분단사와 그 속에서 존재해온 분단구조는 핵심요인들과 그 매개변수들의 작동논리들을 통하여 한반도 내부에 다양하고도 복잡한 관계들을 만들어온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분단과 탈분단의 역진과 도전인 동시에 분단극복과 통일전환을 향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existed in various forms in a more causal and dynamic manner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shift to unification by focusing on the various and multi-sided conflict structure of the division. The summary of the paper is as follows.
One thing to be emphasized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multi-sided conflict structure of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is the fact that the painful history of the division for 70 years and the division structure existed in the history have created diverse and complex relations inside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key factors and their mediating variables. This can be also evaluated as the regression and challenge of the division and post-division, as well as a part 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pursue the unific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남북한 분단의 중층성과 복합구조의 형성
Ⅲ. 남북한 관계의 이중성과 다중구조의 공고화
Ⅳ. 분단극복과 통일지향을 위한 특수성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
-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 한국·중국·대만 전승 「금우태자전(金牛太子傳)」 비교 연구
- 지식기반 성장체제와 국가혁신체제
- 강릉(江陵)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의 시론적(試論的) 검토
- 후기(後期) 한양영화사(漢陽映畵社) 연구
- 일제강점기 이왕가(李王家) 재산의 구성과 관리
-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선거에서의 보수성 전달
-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양상 연구
-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춘수 무의미시의 정체성 재규정
- 보호소년(6호처분) 위탁 아동복지시설의 운영특성 연구
- 아감벤의 “나머지” 개념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 100년을 앞서 간 신여성 나혜석
-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에 관한 고찰
- 쪽방거주자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한국어 초점사에 대한 언어습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