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9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도영(Gim Do you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329~36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득수준, 교육수준, 경제활동 형태를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설정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요인들이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갑자기 불거진 문제가 아니지만 사회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사회에서 발생하는 건강불평등 현상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발생되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차원의 정책만이 아니라 사회계층별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by utilizing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fter setting the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form of economic activity a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to measure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zing resulting differences i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study identified socioeconomic status as a factor influencing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has not been newly confirmed, but the fact that it has continued on without any changes until recently raises a ne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reality.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in our society takes place as social structural issues,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social interventions to resolve inequalit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social classes as well as policies at the level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 order to reduce the gap in health level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improve the level of national health.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결과 해석에 관한 소고
-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 한국·중국·대만 전승 「금우태자전(金牛太子傳)」 비교 연구
- 지식기반 성장체제와 국가혁신체제
- 강릉(江陵)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의 시론적(試論的) 검토
- 후기(後期) 한양영화사(漢陽映畵社) 연구
- 일제강점기 이왕가(李王家) 재산의 구성과 관리
- 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선거에서의 보수성 전달
-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양상 연구
-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춘수 무의미시의 정체성 재규정
- 보호소년(6호처분) 위탁 아동복지시설의 운영특성 연구
- 아감벤의 “나머지” 개념과 동아시아 공동체론
- 100년을 앞서 간 신여성 나혜석
- 남북한 분단의 다면적 대립구조에 관한 고찰
- 쪽방거주자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한국어 초점사에 대한 언어습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