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조영검사에서 생리식염수 투여를 통한 임상 유용성 평가
이용수 46
- 영문명
- The Clinical Usefulness Evaluation of Normal Saline Injection in Coronary Arte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Coronary CT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정강교(Kang-Kyo Jung) 이미화(Mi-Hwa Lee) 조평곤(Pyong-Kon Ch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7권 제4호, 307~31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olus tracking method을 이용한 관상동맥전산화단층조영검사(coronary artery CT angiography, 이하 coronary CTA)에서 조영제 주입 전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투여를 통해 변화되는 심박동수(heart rate) 특성을 고려한 촬영방법 변환으로 영상의 질과 선량에 미치는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건 강검진을 목적으로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여 coronary CTA을 시행한 200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선량평가에서는 전향적 동조화가 후향적 동조화보다 유효선량이 6.0±1.0 mSv(54.1%) 감소되었다. 평균 심박동수는 심장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이하 NTG) 섭취 후 변화된 평균 심박동수와 생리식염수 투여 후 변화된 평균 심박동수 비교에서 4.8±0.3 bpm의 유의한 차이의 감소를 보였고 심박동수 변화의 폭(heart rate area)에서는 평균 4.7±2.0 bpm의 감소를 보였다. 영상평가에서는 SNR과 CNR, 그리고 blurring 정도의 평가에서 모두 심박동수가 감소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에서 coronary CTA에서 피폭선량 감소와 영상의 질 향상을 위해 조영제 주입 전에 생리식염수 투여를 통한 심박동수 특성관찰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n coronary artery angiography computed tomography (coronary CTA), to gain high quality of image and to use low dose radiation by administrating normal saline and convert-ing the mode of scanning heart rate (HR) characteristics before infusing contrast media. All patients data (total specimens: 200, male: 108, female: 92) were measured by using appropriate mode of scanning the heart rate (HR) after injection of saline. in addition we measured radiation dose (CTDIvol, effective dose) in all examinations. CT number and noise, and blurring of coronary artery (proximal RCA, middle RCA, proximal LCA)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result of this study after injection of saline, mean heart rate was decreased about 4.8±0.3 bpm (beats per minute). 33 patients (13%) got converting scan mode due to reducing heart rate (HR). In pro-spective gating mode, radiation dose were measured less 6.0±1.0 mSv (54.1%) than retrospective gating mode.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decrease in image eval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음파팬텀(ATS-539)을 이용한 의료용 초음파장비의 성능검사
- Computed Radiography에서 Additional Filtration Material에 따른 Radiation Dose와 Image Quality의 변화
- 건강한 성인의 담석 유병률과 위험인자
- 가상 Frisch-그리드를 이용한 CdZnTe 감마선 소자 제작
- 투사 및 역투사 방법에 따른 컴퓨터단층촬영 영상 비교
-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전산화단층촬영장비 보유현황과 검사료간의 관계
- 관상동맥 전산화단층촬영 조영검사에서 생리식염수 투여를 통한 임상 유용성 평가
- Determination of Gross-β and γ-Ray Activity Concentrations of Human Tooth
- 감마선 에너지에 따른 납치마의 차폐효과 분석
- 체질량지수와 디지털유방촬영술상의 유방밀도와의 연관성
-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치료 전·후 골밀도 변화 분석
- 요추부 골밀도 측정 시 장내 변화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대동맥림프절 종양에 대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 양성자치료, 양성자회전치료의 선량 비교평가
- 쐐기필터 사용에 따른 선량증가 영역에서 선량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