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flict of Power Transmission Line Establish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tigation against it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나년식(Ra, Nyun-Sik) 장희순(Jang, Hee-Soon) 방경식(Bang, Kyung-Sik)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3권 제3호 (통권 제29호), 135~1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legal precedents issued over the period between 1991 and 2014, identify the cause for occurrence of the dispute over power transmission line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The reality i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which has recently become a social issue, has led to the more complicated aspect of the conflicts among the developer, the landowner, local residents, environmental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 and so on, and the conflict behavior has intensely grown.
This conflict led to legal ac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cial trend of 'legal action is all' may occur. As the high-pression power transmission line is the NIMBY facility but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 for human lif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coordinate interests between electricity supplier and consumer, and the landowner under the high-pression power transmission line and local residents in order to resolve its double nature. As a result of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obtained ; required tremendous costs related to the NIMBY facility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ver the propriety of the sharing of the costs; further aggravation of the dispute over the valuation of land under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e need to increase the underground install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he likely gradually increasing demand of compensation for damaged scenery and
environment and mental har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take countermeasures for them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송전선로 소송의 특징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을만들기에서 주민협정을 통한 주거환경관리의 실천에 관한 연구
- 택지개발지구내 주차문제 발생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근대건축 디자인의 색채 사용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종사자 주거행동 특성요인분석
- 광교신도시 거주자 평가를 통한 Water Sensitive Urban Design(WSUD)의 적용 현황과 과제
- 한국・일본 전통 상류주택의 비물질적 표현특성 비교
-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만족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운영방안에 관한 실증분석
-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후보지 평가에 관한 연구
- 환경 및 물리적 서비스특성이 지식산업센터의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송전선로 설치의 갈등 및 소송의 특징
- 도시기본계획의 공업용지 토지이용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 중개사고 예방을 위한 중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 창조도시지수 개발에 관한 실증연구
- 부동산중개 모바일 앱의 지각된 가치가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거시경제변수와 오피스시장의 수익률 관계에 관한 연구
- 원도심 전통시장의 식품위생 안전 실태분석을 통한 재생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 준공공임대주택사업의 조세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주거지역내 학교시설의 정량적 설계평가항목 개발
- 오피스텔 매매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2호 목차
- 신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아파트 가격 결정 요인과 브랜드 가치 비교 연구 - 울산시 북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