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character of selecting acupoints in Jangjinyopyeon (藏珍要編)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金度勳(Kim Do-Hoon) 白裕相(Baik You-sa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 4호, 291~3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Jangjinyopyeon (藏珍要編, JJYP) was published in 1894.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know the character of JJYP, and to know JJYP inherited the tradition of Chosun(朝鮮) acupuncture which put emphasis on diagnosis and cure of Jangbu(臟腑) through meridian system. Method : First, identify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Mimeograph version of Original JJYP. After then, count and classify the provision by selected acupoints. Analyzed the result in succession. Conclusion : From the research of the mimeograph version of Original JJYP, come to following conclusion. 1. The pen name of author is Songgye(松溪), which means the region of his origin.
2. JJYP used 49 acupoints in total. It covers all regular meridian system except the regular Meridian of Hand Soeum[手少陰心經] for heart organ would never be injured in Neijing(內經) 3. JJYP suggested Eight Confluent points[八脈交會穴] as major acupoints in the end of book. But actually they were selected as the acupoints of belonging Jangbu(臟腑) and various symtoms. 4. Oegwan(外關) and Sameumgyo(三陰交) were maximum frequency in selecting of all acupoints, which means JJYP value controling and covering whole body. 5. Generally, Reinforcing and reducing manipulations concentrated one way, but Hugye(後谿) used each manipulation equally, which means JJYP regards tonification or purgation highly in Hugye(後谿).6. Most acupoints of high frequency were Nak-point[絡穴], Won-point[原穴], Hap-point[合穴], which suppos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Jangbu(臟腑). So, we can see JJYP continue the tradition of Chosun acupuncture which put emphasis on Jang image[藏象] of meridian.
목차
Ⅰ. 序 論
Ⅱ. 本 論
Ⅲ. 考 察
Ⅳ. 結 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黃帝內經․素問」 의 槪念語와 論旨 分析
- 《黄帝内经》成书的西汉文化背景
- 小字本系統 「金匱要略」 吳遷本의 特徵에 대한 考察
- 熱入血室證에 대한 小考
- 奇經八脈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고찰
- ‘七方’說의 변화·발전 과정
- 關闔樞와 標本中氣 從化規律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 「素問」版本槪要
- 『伤寒杂病论』美容理论与方药的考察
- 中醫近世 1) 外科 2) 「反常」手術之謎— 中醫為什麼沒有「手術」傳統?
- 「素問」의 刺血療法에 대한 硏究
- 조선의 名醫 유이태(劉以泰.劉爾泰) 연구
- 大腸正格證과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과의 관계 考察
- 「新纂辟瘟方」의 瘟疫 인식 및 辟疫書로서의 의의에 대한 고찰
- 明代 儒醫 李梴의 道敎이해
- ‘十劑’說의 변화·발전 과정
- 「黃帝內經⋅素問 」에 수록된 五臟原穴鍼法의 적응증 선별 연구
- 「東醫壽世保元」 引用文 硏究에 적용할 수 있는 方法論에 관한 考察(2)
- 「藏珍要編」의 選穴特性에 관한 연구
- 이규준 의서 「황제내경소문대요」의 유통본과 그 저본이 된 조선 간본 「황제내경소문」
- 兩周傳世文獻所見之醫療巫術考察
- 杨上善对中医理论体系框架形成的贡献
- 左腎右命門과 腎間動氣의 통합적 이해를 위한 연구
- 「臟腑標本虛實寒熱用藥式」 의 標本病 구분에 대한 考察
- 民火의 개념 및 膀胱氣化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輔行訣臟腑用藥法要」에 기재된 「傷寒雜病論」 方劑에 관한 小考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